예전꺼>>

지식경영의 성공과 실패

행복한 사람!! 2018. 12. 5. 14:57
반응형

지식경영의 성공과 실패

 

지식경영에서 앞서가는 사람들의 가지 특징

 

1.  지식이나 지식경영에 관련해 무엇을 것인가에 관한 비젼을 확실히 제시할 있다. 자신의 비즈니스, 비즈니스환경, 지식의 목표 등에 관해 명확이 알고 있다.

 

2.  최고경영진에 의해 지원을 받는 영성적인 지식 챔피언(Knowledge champion)들을 보유하고 있다.

 

3.  전략적이고 기술적이며 조직적인  전망을 포괄한  전체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

 

4.  체계적인 공정과 프레임워크를 이용한다. (시각적 효과의 가점을 지님)

 

5.  비용절감의 이익을 산출하기 어렵다 할지라도, 지식에 승부를 건다(bet on knowledge).

 

6.  모든 미케팅전술이나 PR  효과적인 커뮤티케이션수단을 이용한다.

 

7.  어떤 계층의 고객들이나 외부의 전문가들과도 효과적인 인터 액션을 수행한다. , 외부적으로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8.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팀으로 뛰어난 웍을 발위한다.

 

9.  개방적이고 탐구하는 분위기를 유지해 개혁과 학습(innovation & learning) 장려한다.]

 

10.  행동변화를 위해 인센티브제도, 개인개발프로그램 등을 개발한다.

 

 

 

 

 

 

 

지식경영에 뒤쳐지는 사람들의 가지 특징

 

1.  지식을 단순히 정보나 데이터 베이스 모델로 규정하고, 지식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에대한 이해도 없이 "지식"이라는 이름을 적용한다.

 

2.  가장 유용한 것이 아닌 가장 얻기 쉬운 지식을 묶어 전파한다.

 

3.  강력한 경영지원 없이 개별적인 고립상태에서 일한다.  따라서 지식시스템의 운영이 전체조직을 포관하는 것이 아니라 MIS 같이 하나의 부서에 국한되게 된다.

 

4.  새로운 지식창출이나 이노베이션 등의 프로세스보다는 단지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 같은 지식의 작은 측면에만 몰두한다.

 

5.  관련 지식분야에대한 이해 없이 맹목적으로 BPR 같은 변화 프로세스를 따른다.

 

6.  어떤 중요한 지식이  손실될 있는가를 평가하지도 않고, 다운사이징이나 아웃소싱을 실행한다.

 

7.  기술만이 유일한 해답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이들이 개발한 전문가 시스템은 지식을 체계화하여사용하는 방법일 뿐이다.

 

8.  "지식은 "이라는 풍토에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르는, 문화적 방벽을 가지고 있다.

 

9.  "우리는 모든 것을 통달하고 있다" 생각하기 때문에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해 열정이 없다.

 

10.  조급하다. 지식경영을 또다른 단기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으로 생각한다. 새로운 시스템이나 행동양식이 정착하는 걸리는 시가을 염두해 두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