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자의 기본 지식과 역활!!
Ⅴ. 교수자의 기본지식과 역할(1)
교육효과는 이를 지도하는 강사․ 교수자의 지도 이념, 지도기술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1. 수강자는 주역, 강사ㆍ교수자는 안내역
어떤 교육에서든지 핵심은 수강자가 교육내용이나 교육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또한 교육에서 배운 것을 업무수행에 활용하려는 의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당연한 이치이지만 교육에 있어서의 주역은 어디까지나 교육수강자이며, 강사ㆍ교수자는 교육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선도역, 안내역에 불과하다.
안내역에게는 수강자를 교육목표에 확실하게 도달시키기 위한 확고한 지도계획과 지도기술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한 구체적인 지식, 기술이 무엇인지 우선 먼저 그 개요를 확인해 두기로 한다.<표2>
2. 교육계획의 작성 포인트
교육계획이란 문자 그대로 교육을 계획적으로 또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에 교육진행의 순서, 강의 개요 따위를 요약한 교안을 말한다.
그 형식과 사용법은 지도자에 따라 각양각색이지만 메모식, 카드식, 메뉴얼식 등이 일반적인데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해서 작성한다.
<표 1> 교육계획의 내용과 작성
ㆍ교육의 명칭 ㆍ교육목적과 그 교육의 초점 ㆍ강의주제, 강의내용, 주된 항목 ㆍ사용하는 교재, 자료 ㆍ연수중에 활용하는 교육기법 ㆍ진행상의 시간 배분 |
교육계획의 구체적인 예를<표 3,4>에 요약한다.
<표 3> 교육계획의 양식(1)
①연 수 명 : | 신입사원 기초교육 | |
②교육목표 : | 조직의 일원으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신입사원으로서의 마음 자세와 직장규율, 직장매너의 기본동작을 습득케 한다. | |
③테 마 : | ‘신입사원에 기대되는 직업의식과 역할’ | |
④일 시 : | 19××년 ×월 ×일(목) 09:00~18:00(8H) | |
⑤교 육 장 : | 본사회의실 | |
⑥대 상 자 : | 19××년도 신입사원(대졸 남자12명, 여자8명 계20명) | |
⑦교육방법 : | 강의, 그룹토의, 역할연기, VTR(직장의 매너) | |
항 목 | 진행방법 ㆍ 내용 | |
〔도 입〕 1. 인 사 (15분) 2. 신입사원 자기소개 (60분) 〔과제토의〕(55분) <휴 식 10분> 〔강 의〕(40분) | ㆍ강사자기소개 ㆍ교육목표와 교육의 진행방법 ㆍ2인1조에 의한 타자 소개 (성명, 출신교, 취미, 특기, 장점, 단점, 포부 등) 「학교생활과 회사생활과의 차이점」(워크시트①) ㆍ개인워크(10분) ㆍ그룹별 토의(15분) ㆍ전체발표와 코맨트(약30분)
「회사조직에 대하여」 1. 회사조직의 구조에 대하여 2. 조직인으로서의 마음가짐-직장규율과 매너- |
<표 4>교육슨계획의 양식(2)
교육명 : 주제「 」 NO.1 | ||
ㆍ인사 1. 주제제시 2. 강의개요 | ............................................................................................. ............................................................................................. ............................................................................................. (1).......................................................................................... .......................................................................................... .......................................................................................... (2) .......................................................................................... .......................................................................................... .......................................................................................... | |
사용시트① | ( )분 |
가. 강의개요 작성시의 포인트
강의내용의 순서에 따라 항목을 배열하고, 필요한 곳에는 세부항목을 써넣는다. 각 항목마다 시간을 배당하며 이때에 시간을 보기 쉽게 해야한다.
말하는 가운데서 강조점에 대해서는 형광펜으로 밑줄을 그어 놓거나 무슨 강조의 방법을 구사할 것인지 어필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적어둔다.
강의의 마무리는 어떻게 결론 지을 것인가, 효과적인 임팩트를 주는 끝맺음의 말을 생각해서 적어둔다.
3. 실제적인 교수기술의 포인트
전술한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강의를 시작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화법의 포인트를 감안해서 도입강의에 들어가기까지의 마음가짐과 요령을 단계에 따라 설명해 본다.
가. 강의에 들어가기 전의 체크 포인트
아무리 좋은 강의라 할지라도 수강자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판서된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면 아무 소용없는 일이다. 따라서 강의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해 두어야 한다.
①교육장의 크기와 면적을 목측해 둔다.(마이크의 유무, 자기의 음성으로 참가자에 게 의사전달 하기에 충분한가)
②참가대상 인원수
③판서도구의 확인(참가자에게 보기 좋은 것인가, 글자의 크기는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나. 등단하는 방법과 제일성까지의 포인트
강의를 하게 되면 흔히 화법이나 내용에 대하여 온 신경을 쓰게 마련인데 수강자는 강사가 과연 어떤 인격의 소유자인지를 판단하기까지의 극히 짧은 시간 내에 무의식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교수자의 태도나 표정, 또 인사하는 방법 등, 극히 세세한 부분에서 그 사람의 성격이 나타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①등단하기까지의 걸음걸이-등줄기를 쭉 펴고, 침착하게 걷는다.
②인사하는 방법-등단해서 바로 입을 열지 않고, 마음속으로부터 인사하는 기분으 로 가볍게 인사한다.
③눈높이(A)-정면만을 바라보지 말고, 전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 시선을 좌측 손 으로부터 우측 손이 있는 사람까지 향하도록 유의해야 한다.
눈 높이(B)-수강자수가 많을 때에는 특히 눈 높이(시선)가 중요함으로 강의도중 내내 신경을 써야 한다. 따라서 「눈으로 말한다. 눈으로 억누른다, 시선을 집중 시키는 장소」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④제일성의 발성-이야기의 첫마디는 대개 인사말이나 자기소개를 하는 것이 일반 적이지만 그때의 포인트는 어디까지나 시원시원하고 분명해야 한다. 그 요령은 여 느때의 음성의 높이보다 의식적으로 한 옥타브 높게 하고, 소리가 교육생 전원에 게 잘 들리는지 그리고 수강자의 반응을 확인한 후에 본론에 들어간다,
다. 도입강의의 진행법과 요령
강의의 본 주제에 들어가는데 있어서 수강자의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하여 도입부의 화법이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서의 화제는 그 사람 나름의 내용의 것을 선택하면 되지만, 일반적인 몇 가지 패턴을 들어보기로 하자.
①계절에 관한 이야기, 뉴스에 관한 화제로부터 들어간다.(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 에는 꺼내기 쉽고, 비교적 무난하다.)
②니즈에 부합되는 화제로 바로 도입한다.(단시간의 강의의 경우에는 본론에 들어 가기 쉽게 하기 위해 도입부에서 미리 말뜻의 의도적인 복선을 깔아 놓는다)
③뜻밖의 화제로부터 들어간다.(수강자에게 더 한 층의 흥미나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서 본 제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사항이나 속담, 격언 따위를 도입 부에 가져온다)
그 어떤 방법이건 간에 어디까지나 본 제에 들어가기까지의 도입단계이기 때문에, 너무 많은 화제를 번거롭게 늘어놔서 이야기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라. 강의의 진행법
강의진행상 다음 4가지 단계를 거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①도입단계-강의의 개요와 문제점의 명시
②강조단계-강의의 취지와 요점의 강조
③설득단계-강의의 취지를 뒷받침하는 뜻에서 그에 관한 구체적 예를 든다
④요약단계-강의 전체를 검토하고 요점을 다시 한번 인상 깊게 부각하면서 전체를 마무리한다.
마. 강의를 잘 하기 위한 체크포인트
ㆍ서론 부분에서 너무 시간을 잡고 있지 않은가?
ㆍ이것저것 잔뜩 늘어놓으려고 욕심 부리고 있지 않은가?
ㆍ더 줄일 부분은 없는가?
ㆍ더 적당한 예는 없는가?
ㆍ내용이나 용어 따위가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없는가?
ㆍ이야기가 지나치게 완곡하지 않는가?
ㆍ독선적인 곳은 없는가?
ㆍ결론에서 임팩트가 들어가 있는가?
바. 이야기의 본 줄기를 벗어나지 않기 위한 방책
실제로 강의를 하다보면 때로는 자기가 다음에 해야할 이야기의 실마리를 잊을 때가 있다. 특히 강의에 숙달되지 않은 때에는 이런 경우가 가끔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강의 재검토, 교육계획서의 작성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막상 그 단계에 이르면 교안에 써 있는 것조차도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야기의 골자를 머리 속에 기억해 두고, 각 포인트의 첫 부분을 다른 말로 바꾸어서 미리 여러 번 마음속에서 순서대로 쌓아 두어야 한다.
사. 강의의 요령은 들려주는 것 반, 보여주는 것 반이다.
-인간의 5감과 학습효과-
수강자의 청각만을 자극하는 소리의 억양과 말만의 강의는 자칫 변화가 없고 단조로 와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연구 한 것이 흑판이나 OHP 혹은 VTR등을 활용 한 소구법(訴求法) 이며, 강사의 표정, 태도, 동작 따위에 변화를 가져와 수강자의 시각에의 의식적 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인간이 5감을 써서 외계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비율은 시각에서 약 60% 이상, 청각에서 20%, 촉각에서 약15%, 후각에서 약3%, 미각에서 약2% 라고 한다.
강의 시 이런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서 시각을 통한 소구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표 5> 인간의 5감과 학습효과
아. 판서의 요령
①판서의 요령은 흑판(백판)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 등으로 3등분하되 글씨는 크 게, 빨리, 정확하게 쓰도록 해야 한다,
②주제는 왼쪽 상단에 조금 크게 (한 글자 9~10cm정도)쓴다
③강의 항목은 이야기의 순으로 그 아래에 써나간다. 주제와 주제항목은 남겨둔다.
④도표나 예시는 가운데 또는 오른쪽에 하고, 불필요한 것은 지워 나가며 너무 많이 써 놓지 않는다. 흑판을 향해서 말하거나, 쓴 것을 몸으로 가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판서의 문구는 단순하게 하고, 복잡한 도표 따위는 미리 프린트해서 배포한다.
교육효과는 이를 지도하는 강사․ 교수자의 지도 이념, 지도기술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1. 수강자는 주역, 강사ㆍ교수자는 안내역
어떤 교육에서든지 핵심은 수강자가 교육내용이나 교육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또한 교육에서 배운 것을 업무수행에 활용하려는 의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당연한 이치이지만 교육에 있어서의 주역은 어디까지나 교육수강자이며, 강사ㆍ교수자는 교육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선도역, 안내역에 불과하다.
안내역에게는 수강자를 교육목표에 확실하게 도달시키기 위한 확고한 지도계획과 지도기술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한 구체적인 지식, 기술이 무엇인지 우선 먼저 그 개요를 확인해 두기로 한다.<표2>
2. 교육계획의 작성 포인트
교육계획이란 문자 그대로 교육을 계획적으로 또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에 교육진행의 순서, 강의 개요 따위를 요약한 교안을 말한다.
그 형식과 사용법은 지도자에 따라 각양각색이지만 메모식, 카드식, 메뉴얼식 등이 일반적인데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해서 작성한다.
<표 1> 교육계획의 내용과 작성
ㆍ교육의 명칭 ㆍ교육목적과 그 교육의 초점 ㆍ강의주제, 강의내용, 주된 항목 ㆍ사용하는 교재, 자료 ㆍ연수중에 활용하는 교육기법 ㆍ진행상의 시간 배분 |
교육계획의 구체적인 예를<표 3,4>에 요약한다.
<표 3> 교육계획의 양식(1)
①연 수 명 : | 신입사원 기초교육 | |
②교육목표 : | 조직의 일원으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신입사원으로서의 마음 자세와 직장규율, 직장매너의 기본동작을 습득케 한다. | |
③테 마 : | ‘신입사원에 기대되는 직업의식과 역할’ | |
④일 시 : | 19××년 ×월 ×일(목) 09:00~18:00(8H) | |
⑤교 육 장 : | 본사회의실 | |
⑥대 상 자 : | 19××년도 신입사원(대졸 남자12명, 여자8명 계20명) | |
⑦교육방법 : | 강의, 그룹토의, 역할연기, VTR(직장의 매너) | |
항 목 | 진행방법 ㆍ 내용 | |
〔도 입〕 1. 인 사 (15분) 2. 신입사원 자기소개 (60분) 〔과제토의〕(55분) <휴 식 10분> 〔강 의〕(40분) | ㆍ강사자기소개 ㆍ교육목표와 교육의 진행방법 ㆍ2인1조에 의한 타자 소개 (성명, 출신교, 취미, 특기, 장점, 단점, 포부 등) 「학교생활과 회사생활과의 차이점」(워크시트①) ㆍ개인워크(10분) ㆍ그룹별 토의(15분) ㆍ전체발표와 코맨트(약30분)
「회사조직에 대하여」 1. 회사조직의 구조에 대하여 2. 조직인으로서의 마음가짐-직장규율과 매너- |
<표 4>교육슨계획의 양식(2)
교육명 : 주제「 」 NO.1 | ||
ㆍ인사 1. 주제제시 2. 강의개요 | ............................................................................................. ............................................................................................. ............................................................................................. (1).......................................................................................... .......................................................................................... .......................................................................................... (2) .......................................................................................... .......................................................................................... .......................................................................................... | |
사용시트① | ( )분 |
가. 강의개요 작성시의 포인트
강의내용의 순서에 따라 항목을 배열하고, 필요한 곳에는 세부항목을 써넣는다. 각 항목마다 시간을 배당하며 이때에 시간을 보기 쉽게 해야한다.
말하는 가운데서 강조점에 대해서는 형광펜으로 밑줄을 그어 놓거나 무슨 강조의 방법을 구사할 것인지 어필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적어둔다.
강의의 마무리는 어떻게 결론 지을 것인가, 효과적인 임팩트를 주는 끝맺음의 말을 생각해서 적어둔다.
3. 실제적인 교수기술의 포인트
전술한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강의를 시작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화법의 포인트를 감안해서 도입강의에 들어가기까지의 마음가짐과 요령을 단계에 따라 설명해 본다.
가. 강의에 들어가기 전의 체크 포인트
아무리 좋은 강의라 할지라도 수강자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판서된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면 아무 소용없는 일이다. 따라서 강의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해 두어야 한다.
①교육장의 크기와 면적을 목측해 둔다.(마이크의 유무, 자기의 음성으로 참가자에 게 의사전달 하기에 충분한가)
②참가대상 인원수
③판서도구의 확인(참가자에게 보기 좋은 것인가, 글자의 크기는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나. 등단하는 방법과 제일성까지의 포인트
강의를 하게 되면 흔히 화법이나 내용에 대하여 온 신경을 쓰게 마련인데 수강자는 강사가 과연 어떤 인격의 소유자인지를 판단하기까지의 극히 짧은 시간 내에 무의식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교수자의 태도나 표정, 또 인사하는 방법 등, 극히 세세한 부분에서 그 사람의 성격이 나타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①등단하기까지의 걸음걸이-등줄기를 쭉 펴고, 침착하게 걷는다.
②인사하는 방법-등단해서 바로 입을 열지 않고, 마음속으로부터 인사하는 기분으 로 가볍게 인사한다.
③눈높이(A)-정면만을 바라보지 말고, 전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 시선을 좌측 손 으로부터 우측 손이 있는 사람까지 향하도록 유의해야 한다.
눈 높이(B)-수강자수가 많을 때에는 특히 눈 높이(시선)가 중요함으로 강의도중 내내 신경을 써야 한다. 따라서 「눈으로 말한다. 눈으로 억누른다, 시선을 집중 시키는 장소」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④제일성의 발성-이야기의 첫마디는 대개 인사말이나 자기소개를 하는 것이 일반 적이지만 그때의 포인트는 어디까지나 시원시원하고 분명해야 한다. 그 요령은 여 느때의 음성의 높이보다 의식적으로 한 옥타브 높게 하고, 소리가 교육생 전원에 게 잘 들리는지 그리고 수강자의 반응을 확인한 후에 본론에 들어간다,
다. 도입강의의 진행법과 요령
강의의 본 주제에 들어가는데 있어서 수강자의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하여 도입부의 화법이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서의 화제는 그 사람 나름의 내용의 것을 선택하면 되지만, 일반적인 몇 가지 패턴을 들어보기로 하자.
①계절에 관한 이야기, 뉴스에 관한 화제로부터 들어간다.(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 에는 꺼내기 쉽고, 비교적 무난하다.)
②니즈에 부합되는 화제로 바로 도입한다.(단시간의 강의의 경우에는 본론에 들어 가기 쉽게 하기 위해 도입부에서 미리 말뜻의 의도적인 복선을 깔아 놓는다)
③뜻밖의 화제로부터 들어간다.(수강자에게 더 한 층의 흥미나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서 본 제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사항이나 속담, 격언 따위를 도입 부에 가져온다)
그 어떤 방법이건 간에 어디까지나 본 제에 들어가기까지의 도입단계이기 때문에, 너무 많은 화제를 번거롭게 늘어놔서 이야기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라. 강의의 진행법
강의진행상 다음 4가지 단계를 거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①도입단계-강의의 개요와 문제점의 명시
②강조단계-강의의 취지와 요점의 강조
③설득단계-강의의 취지를 뒷받침하는 뜻에서 그에 관한 구체적 예를 든다
④요약단계-강의 전체를 검토하고 요점을 다시 한번 인상 깊게 부각하면서 전체를 마무리한다.
마. 강의를 잘 하기 위한 체크포인트
ㆍ서론 부분에서 너무 시간을 잡고 있지 않은가?
ㆍ이것저것 잔뜩 늘어놓으려고 욕심 부리고 있지 않은가?
ㆍ더 줄일 부분은 없는가?
ㆍ더 적당한 예는 없는가?
ㆍ내용이나 용어 따위가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없는가?
ㆍ이야기가 지나치게 완곡하지 않는가?
ㆍ독선적인 곳은 없는가?
ㆍ결론에서 임팩트가 들어가 있는가?
바. 이야기의 본 줄기를 벗어나지 않기 위한 방책
실제로 강의를 하다보면 때로는 자기가 다음에 해야할 이야기의 실마리를 잊을 때가 있다. 특히 강의에 숙달되지 않은 때에는 이런 경우가 가끔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강의 재검토, 교육계획서의 작성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막상 그 단계에 이르면 교안에 써 있는 것조차도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야기의 골자를 머리 속에 기억해 두고, 각 포인트의 첫 부분을 다른 말로 바꾸어서 미리 여러 번 마음속에서 순서대로 쌓아 두어야 한다.
사. 강의의 요령은 들려주는 것 반, 보여주는 것 반이다.
-인간의 5감과 학습효과-
수강자의 청각만을 자극하는 소리의 억양과 말만의 강의는 자칫 변화가 없고 단조로 와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연구 한 것이 흑판이나 OHP 혹은 VTR등을 활용 한 소구법(訴求法) 이며, 강사의 표정, 태도, 동작 따위에 변화를 가져와 수강자의 시각에의 의식적 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인간이 5감을 써서 외계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비율은 시각에서 약 60% 이상, 청각에서 20%, 촉각에서 약15%, 후각에서 약3%, 미각에서 약2% 라고 한다.
강의 시 이런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서 시각을 통한 소구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표 5> 인간의 5감과 학습효과
아. 판서의 요령
①판서의 요령은 흑판(백판)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 등으로 3등분하되 글씨는 크 게, 빨리, 정확하게 쓰도록 해야 한다,
②주제는 왼쪽 상단에 조금 크게 (한 글자 9~10cm정도)쓴다
③강의 항목은 이야기의 순으로 그 아래에 써나간다. 주제와 주제항목은 남겨둔다.
④도표나 예시는 가운데 또는 오른쪽에 하고, 불필요한 것은 지워 나가며 너무 많이 써 놓지 않는다. 흑판을 향해서 말하거나, 쓴 것을 몸으로 가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판서의 문구는 단순하게 하고, 복잡한 도표 따위는 미리 프린트해서 배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