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 / / 2018. 11. 15. 21:46

사출 SQ_항목별 준비서류 및 담당자 지정

반응형

 

Ⅲ. 평가서          
               
 Ⅰ.공통 요구사항 (외주부품 관리)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1-1 항목  외주품/원재료 검사협정 체결 및 검사기준 적합성 관리상태 2 1-1항      
요건
사항
  1.외주품 및 사급품 LIST (출하 성적서와 전부 대조)
2.원재료 LIST(입고처,위치,전화번호,담당)
3.외주품 및 원재료 검사협정 서류 ; 원재료 검사기준서로 대체


6.검사기준 및 측정 주기 설정 근거
7.2017년 원재로 중금속 정기검사 계획/실적(공인기관 의로 자료) -
  - 공급처에서 시험불가항목 외부기관 의뢰(총 12항목중 약 5항목) : 1회/년
  - DMS에서 의뢰한 자료를 유원에서 의뢰한 자료로 작성
8.원재료 수입검사 표준과 관리계획서 일치 여부 자재 검토 및 품질관 교정작업:7/26
원재료 검사협정서 or 검사기준서
검사기준서와 관리계획서 일치 여부 확인
매 입고시 M/SHEET 접수 - 자동차 전량 접수
수불관리 대장과 일치 - 수불장 & 원단위표
자재팀  
기준  1) 외주품/원재료 검사협정 미체결 및 검사기준 미수립됨 0
 2) 외주품/원재료 검사협정/기준 설정중이나 일부 중요항목 누락으로 품질영향 있음 0.5
 3) 외주품/원재료 검사협정/기준 설정중이나 일부 항목 관리계획서 등 표준류와 일치 안됨 1
 4) 외주품/원재료 검사협정 체결, 검사기준 설정 및 표준류 작성 등 요건사항 만족함 1.5
 5) 검사협정 체결, 검사기준 설정 및 표준류 연계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개정관리 우수함 2
1-2 항목  외주품/원재료 수입검사 및 정기검사 실시상태 3 1-2항      
요건
사항
 ▷ 수입검사 대장 LIST 관리 유/무
 ▷ 일상검사, 정기검사 기준 / 절차수립 및 준수상태
 ▷ 검사 전,후 식별 및 선입선출 관리
 ▷ 검사 마스타(한도견본) 관리상태, 포장부품 포장상태 등
 ▷ 외주부품 검사실적 관리(일상, 정기, 신뢰성 검사) 및 시험능력 확보
 ▷ 수입검사 불량품에 대한 처리절차 및 개선대책 수립여부 (부적합품 격리로 혼용방지 관리)
 ▷ 외주 원소재 수입/정기 검사 관리상태 (밀시트 접수/확인, 자체검증, 공인기관 의뢰)
     → 원소재 물성 M/SHEET 접수시 입고 LOT와 밀시트간 일치성 확인
1.수입검사 대상 ITEM LIST(유검사,무검사 구분:무검사 근거)
2.수입검사 검사 표준 및 결과물(M/SHEET 접수,수분 측정 결과_원재료 물성추이도),
  - 원재료 MI 측정기 구매
  - 원재료검사 기준서 건조후 수분함유량 항목 삭제
3.원재료 포장지 및 M/SHEET에 합격 도장
4.원재료 선입선출 기준서(칼라별 선입선출 순서표 부착)
   - 자재로트 식별 라벨 칼라화(3가지)
5.원재료 입.출고 관리 프로세스
   - 자재팀 입출고 관리 방안 및 입출고 관리대장 작성
6.한도견본 관리대장/한도견본 정기 점검 계획 및 실적/한도견본 점검 체크 시트
   - 이상 한도 견본 조치 대장
8.외주 부품/원재료 정기검사 계획 및 실적
9.수입검사 절차-불량품 처리 절차 수립 및 현장 부착(원재료 ONLY)-절차서내 대책수립 명기
10.부적합품 반송 대기장
11.자재 불출증 관리-생산계획 대비 불출(아이템별 소요량 기준)
*웰테크 수입검사 시연 참관
수임검사 대상 아이템 리스트(유검사/무검사 구분)
원재료 포장지 및 M/SHEET 합격 도장
수입검사 일지
2017 외주품 정기 검사 계획서
수입검사 표준
수입 검사 성적서
원재료 입.출고 관리 프로세스
수입검사 부적합 처리 절차
외주 불량 반품 대기장
외주 한도품 관리대장
외주 점검 계획/실적
외주품 관리 절차서
자재팀  
기준  1) 외주품/원재료 수입검사 기준 및 업무절차 미수립으로 검사 미실시됨 0
 2) 외주품/원재료 수입검사 및 정기검사 요건사항 미흡하며 일부 부품 검사 미실시 1
 3) 외주품/원재료 수입검사 및 정기검사 요건사항 만족하나 부분적 검사 누락됨 1.5
 4) 외주품/원재료 수입검사 및 정기검사 요건사항 만족함 2.5
 5) 수입검사 및 정기검사 요건사항 만족하며, 개선대책 수립 및 유효성 검증 우수함 3
1-3 항목  외주품/원재료 보관상태(이물 유입, 손상방지, 선입선출, 재고관리 등) 3 1-3항      
요건
사항
 ▷ 자재 창고 Lay Out 현황도, 선입선출 구조 (구조적 시스템,입/불출 절차 표기)
 ▷ 외주품/원재료 관리상태(찍힘/발청, 기타 손상 유무)
 ▷ 외주품/원재료 식별관리(검사합격 여부, 재료Grade, 장기불용자재 등)
 ▷ 외주품/원소재 보관상태(이물질 오염, 포장훼손, 원소재 제조업체 포장지 사용)
 ▷ 공정 투입후 잔량 관리상태 (보관상태/식별표시/유효기간 설정 등)
1.원재료 선입 선출 기준서
  - 원재료 선입 선출 칼라표 현장 부착
2.원재료 입출고 관리 프로세스
3.자재창고 L/OUT + 자동차용 부착
4.분쇄재 매각 기록 대장
5.잔량 보관장다이 제작/잔량 현황표
6.잔량 중량/유효기간 표시(자재에서 기준 수립)
* 원재료창고
  1)자동차용/전자용/매각대기 구분
  2)라인 튀어나오지 않게 프리스틱파레트 오와 열을 맞추어 적재
  3)절대 원재료 포대 및 마대 오픈품 보관 금지
  4)청소 상태 항상 양호 하계 유지 하며 온도/습도 관리 일일 체크시트 기록 철저
원자재 창고 L/OUT
원재료 선입 선출 기준 부착
원재료 입출고 관리 현황판 부착
원재료 창고 자동차용,전자용/매각대기 구분 부착
잔량 보관대 지정/현황표 부착
잔량  중량/유효기간 표시
분쇄재 보관장 현황표 부착
분쇄재 기록 관리대장

자재팀  
기준  1) 외주품/원재료 관리/식별/보관기준 등 업무절차 미수립됨  0
 2) 외주품/원재료 관리/식별/보관기준 등 설정중이나 기준 미준수로 관리 안됨 1
 3) 외주품/원재료 관리/식별/보관기준 등 설정중이나 일부 요건사항 보완 필요 1.5
 4) 외주품/원재료 관리/식별/보관기준 등 요건사항 만족함 2.5
 5) 외주품/원재료 관리/식별/보관기준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바코드 등 전산시스템과 연계됨 3
               
               
 Ⅰ.공통 요구사항 (공정관리)          
NO 질의 사항 점수 준비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2-1 항목  표준류(관리계획서, 검사기준서, 작업표준서) 작성 및 개정이력 반영 등 관리상태 3 2-1항      
요건
사항
 ▷ 관리계획서/작업표준서 작성 및 개정내용 반영 등 문서관리 상태
   - 표준류와 실제공정 일치성 점점(관리조건 및  관리분담 일치성 등)
   - 고객과 협의된 검사협정서/검사기준서 기준과 표준류(관리계획서) 일치성
   - 작업표준 게시현황 및 공정내 부적합 추정품에 대한 격리/식별절차 현장내 게시여부
      ※ 설비 가동중단(계획/비계획)후 재가동시  업무처리 절차 수립 및 현장내 게시관리 필요
         (설비 및 재공품 품질검증 절차)
   - 외국인 배치 운영공정 현지어 번역/게시된 표준류 반영상태
      (작업표준서, 설비일상점검 기준표, 작업일보 등)
 ▷ 공정FMEA 작성 및 품질문서 내용과 연계상태 확인 (권장사항)
1.각 표준 맞춤 작업(관리계획서/검사기준서/검사성정서/작업표준서/검사표준서/작업일보
    /검사일지/FMEA/도면 등 해당 표준 및 현장 작업 상태 순차적 점검 F/PROOF
    작동상태 점검)
   - 관리계획서 대비 작업표준서 및 검사 일지 맞춤 작업:생산(최과장) : 7/26한
   - 관리계획서와 작업표준서간 용어 및 나열 순서 통일
2.특히 당일 작업호기 지정 각 작업조건 및 F/PROOF별 맞춤 작업
3.외국어 번역 (2개국어) : 관리계획서/작업표준서/전달사항/설비일상점검
   - 현장 게시판 내용 전체 번역
4.부적합(품질,설비) 처리 절차 현장 게시
5.작업표준 현장 부착(전체 설비)
   - 자석제거 후 포켓으로 교체

* 태흥테크 : HD KNOB,LC KNOB
  썬테크 : TL GUIDE 작업시 마다 맞춤 작업
   - 차주 월요일 부터 작업시 마다 심사실시 처럼 점검 수정 실시
도면
관리계획서(완)
공정FMEA
작업표준서
검사일지 항목,순서,단위등 통일 작성
품질팀 08월 17일
기준  1) 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등 표준류 미작성  0 현장 부적합품 보관 장소 설치(계단밑) 다이제작    
 2) 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작성되었으나 중요검사 항목 및 기준 누락 1 부적합 처리 절차 작성 및 현장 게시 생산팀 08월 25일
 3) 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작성/게시중이나 실제관리 조건과 미일치함 1.5 외국어 번역(표준류,전달사항,설비일상점검 항목) 품질팀 08월 23일
 4) 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공정FMEA 등 요건사항 만족함 2.5   - 번역 대상 양식 list (생산)  
 5) 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공정FMEA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개정 이력관리 우수함 3   - 인도네시아,스리랑카어로(아리,사미라 8/22전달)    
2-2 항목  제품별 적재 수량 표준 및 취급 상태, 제품용기 관리상태, 공정 3정 5행 3 2-2항      
요건
사항
 ▷ 부품 혼입방지를 위한 부품식별표/공정이동표 부착 및 식별 적합성
    - 완성품 검사전/후 식별표기 등 LOT 관리상태
 ▷ 제품별 완성품 용기 표준화 및 고객사 승인 관리(적재 수량 / 중량)
    - 표준화 및 승인화 현실적 어려움 업종은 자체 관리기준 수립/관리상태 점검
       (용기관리 및 취급상태 확인, 예: 표면처리, 열처리 협력사 입고/출고용기 동일 사용중)
    - 제품특성을 고려한 용기 설정상태 (이물질유입, 오염방지 커버 外)
    - 용기 다단적재 및 현장 적재상태 (종이BOX, 프라스틱BOX, 전용용기 등)
 ▷ 정기적인 작업장/ 검사장 조도관리 실시상태
    - 조도 관리기준 수립/실행상태 (측정범위 : 각 중요공정 조도 측정)
 ▷ 3정 5행활동 정기적인 점검으로 현장개선 실시
    - 체크시트 활용 및 배점제를 통한 객관적 평가 활동 (권장사항)
1.공정 이동 전표 부착(공동 연구 - 생산,품질,자재,영업 - 양식 수집 : 7/25 협의 결론 도출)
2.제품별 공정 용기 표준화 설정(무게 준한 적정량을 지정 용기에) 공장장 승인
   - 용기 관리대장/용기 점검 주기 및 점검 실적(체크시트 활용)
3.제품별 완성품 용기 설정 고객사 승인본
4.공정별 조도 관리 표준
  - 공정별 주기적 조도 측정 근거(매일 어디를 00시에 누가 측정)
  - 조도 관리 표준 수립 (매주 수요일 10시 최과장 점검)
5.적재랙 높이 규제 BAR등으로 적재 OVER 방지 시스템 구축 - 생산,영업

6.3정5행 관련
  1) 3정 5행 절차서
  2) 3정 5행 추진 실적(정기적 활동 실적)
     - 3정 5행 교육 실적
  3) 3정 5행 포상 실적(품의서 결재 및 실제 포상 사진)
  * 전사원/전관리자 담당구역 설정 전사적 3정5행 활동 계획 및 실적
    - 화장실등 담당 체크시트 부착,전등 소등 담당등 세부적 라인 곳곳에 부착
  4)현장 화장실등 부착 관리방안 수립(탈의실)

  ※ 현장 정리 정돈 : 심사일정 확보후 일정 재 수립
     - 생산사무실,스페어 보관장,바닥도색,장비 사이 
공정용기 표준 설정
완성품 용기 승인 철
공정별 조도 관리 일지
  - 측정표준,측정 담당,일시 지정



3정5행 절차서(완)
3정 5행 활동 보고서
  - 포상 실적
화장실 청소 담당 및 점검 체크시트 부착
전사원 3정5행 담당구역 설정(와)
점검 일정 및 점검 실적

현장 도색
생산사무실 정리
스페어 파트 보관장 정리
휴게소 청소
원재료 투입장 정리
생산팀
영업팀
생산팀




000
000





양상철외
000
000
000
000
8/25

8/25




8/17
8/25



8/25

8/5
8/24
8/4
지속적
지속적
기준  1) 제품별 취급 및 식별, 표준화 및 고객 승인관리 미실시 0
 2) 제품별 취급 및 식별, 표준화 및 고객 승인관리 실시중이나 미준수 1
 3) 제품별 취급 및 식별, 표준화 및 고객 승인관리, 조도관리 등의 요건사항 일부 불만족함 1.5
 4) 제품별 취급 및 식별, 표준화 및 고객 승인관리, 조도관리 등의 요건사항 만족함 2.5
 5) 상기 요건사항 만족하며 현장 3정 5행 주기적 점검 및 개선활동 우수함 3
2-3 항목  ★LOT 추적성 관리 (원재료~완성품, 완성품 출하 등) 6 ★ 4.5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      
요건
사항
 ▷ 외주품/원소재, 공정 단품, 완성품 LOT 추적을 위한 관리기준 설정 및 관리/기록상태
    - 공정이동전표 활용/ 관리 적합성 및 기록상태
    - 제품/금형 LOT NO 관리상태, 제품용기 식별상태, 장기 재공품 등
    - 사용후 잔여품 LOT 혼입 방지및 선입선출
    - 바코드 시스템 적용시 선입선출 준수방안 수립상태
 ▷ 보안/안전 부품중 보안/안전공정은 제품상 식별 표시(LOT타각, 식별마크 등)
1.LOT 추적성 관리 기준(보안/안전 부품 표기 방법 포함)
  - 유원 물류 흐름도(공장 전체 물류 흐름도판 제작 부착)
  - LOT 추적성 관리 기준 대비 실제 제품용기에 표기
* 완성품에서 역으로 추적 가능해야함
  - 어디든 LOT 추적 가능케 표시
LOT 추적 관리 기준
현장 물류 흐름 현황판 제작 부착
LOT 추적 수행

권과장주관 맞춤 연습(8/23)
생산팀
영업팀
자재팀
 
기준  1) LOT 추적성 관리기준 미수립 및 기록관리 미실시중 0
 2) LOT 추적성 관리기준 설정중이나 기록관리 미실시중 1.5
 3) LOT 추적성 관리기준 설정중이나 부분적 기록관리 누락으로 추적성 확인 안됨 3
 4) LOT 추적성 관리기준 및 보안/안전 부품에 대한 요건사항 만족함 4.5
 5) LOT 추적성 및 보안/안전 부품에 대한 요건사항 만족하며 바코드 등 전산시스템과 연계됨 6
2-4 항목  중요공정 품질현황판 및 부품품질 통신문 관리상태 2 2-4항      
요건
사항
 ▷ 중요공정 품질 현황판 작성/게시 내용 및 장소
     - 내용 : 대외 품질지수(IQS) 개선, 필드 클레임, 사전점검 발생 부품,
                고객/HKMC 입고불량 발생된 부품
     - 장소 : 발생 해당공정에 게시
                (예: 수입검사공정, 품질문제 발생원인 해당공정, 완성품 검사공정)
 ▷ 품질 현황판 작성/게시 내용 최신 품질문제 반영 주기적 업데이트 실시상태
     (최소 월 1회 이상 업데이트 필요성 점검 실시상태)
 ▷ 중요공정 품질현황판 게시 해당공정 작업자 및 관리자 내용 숙지상태
 ▷ 중요공정 및 중점관리공정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식별표시
1.부품 품질통신문 접수 대장/적용사례
2.중요공정 SPC DATA 관리
3.현장 이슈 포인트/고객품질문제 중점관리 사항 게시
* 현장 위치 선정 및 게시물 내용 선정 게시판 제작 부착
현장게시판 위치 지정
부품품질통신문 접수 대장 작성
부품품질통신문 게시/적용사례
중요공정 SPC 관리상태 현황판 게시
현장 이슈 포인트
고객품질문제 중점관리 사항
기타 품질 전달내용
공장장
품질팀
품질팀
품질팀
품질팀
품질팀
품질팀
게시판
위치지정
즉시
기준  1) 중요공정 중점 관리기준 작업표준, 검사기준서에 식별표시 및 게시 안됨  0
 2) 중요공정 중점 관리기준 식별표시 되어 있으나 및 품질현황판 작성/게시 안됨 0.5
 3) 품질현황판 작성/게시 등 요건사항 만족하나, 작업자 및 관리자 내용숙지 미흡으로 준수 안됨 1
 4) 품질현황판 작성/게시 및 작업자 내용 숙지 등 요건사항 만족함  1.5
 5) 품질현황판 작성/게시 및 작업자 내용 숙지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주기적 업데이트 우수함 2
2-5 항목  ☆(안전부품)설계변경 및 4M 변경사항 이력관리 4 ☆ 3.5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안전부품)      
요건
사항
 ▷ 설계변경, 4M 변경처리 업무절차 및 기준 (4M 신고 및 ISIR 대상 분류 / 처리절차)
 ▷ 설계변경, 4M 변경품 인라인 적용전 고객승인 여부 및 적용후 초기유동 관리 자료
     (마스터리스트 추적성 관리)
 ▷ (주요 보안/특별특성 공정) 작업자 변경포함 4M 변경신고 누락 예방을 위한 정기적인 검증활동 실시 
1.사내 4M 처리 절차서
2.사내 4M 변경에 따른 고객사 승인 사례
3.4M변경품 선입 선출 절차
4.4M 관리 대장
1.사내 4M 처리 절차서
2.사내 4M 변경에 따른 고객사 승인 사례
3.4M변경품 선입 선출 절차
4.4M 관리 대장

* 추가
  - 오성사 설비 변경
     작업자 작업공정 변경 건수 추가 작성
000
기준  1) 설계변경, 4M변경 업무절차 문서화 미흡 / 변경이력 관리 안됨 0
 2) 설계변경, 4M변경 업무절차 수립중이나 관련 근거자료 미관리중 1
 3) 업무절차 수립중이나 관련부문 검토, 고객승인 등 관련이력 일부 누락 관리중 2
 4) 업무절차 수립중이며 관련부문 검토, 고객승인 등 관련이력 관리상태 양호함 3.5
 5) 설계변경, 4M변경 이력관리 양호하며, 품질문제 방지를 위한 초기유동 관리 양호함 4
Ⅲ. 평가서          
               
 Ⅰ.공통 요구사항 (설비관리)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3-1 항목  F/P.설비 작동상태(게이지/경광등) 및 일상 점검 3 3-1항      
요건
사항
 ▷ 설비일상 점검부위 및 점검방법 도식화 관리상태
 ▷ 품질문제 발생시 설비장착 게이지 및 작동 스위치 작동상태 점검여부
 ▷ 게이지 검교정 상태 ( 외부기관 검교정 또는 마스터게이지 활용 비교 검교정 인정 )
 ▷ 설비 작동유 누유 및 냉각수 누수여부 관리상태
 ▷ 설비 조건관리 변경 스위치류 작업자 임의조작 방지
 ▷ F/PROOF 장치 인터락 반영상태 및 임의 OFF 생산작업 실시여부 점검
1.설비 전체 LIST 및 등급/중요 관리 기준 설정
2.설비 이력관리 카드 

1.설비 일상점검 기준서 및 점검표(도식화 포함)
2.설비 스크류 포함 정기점검 계획/실적 체크시트(외/내부 의뢰 결과)
3.2017년 설비 정기예방 점검 계획(작동유 상태/유량 관리)
4.F/PROOF 설비 일상 점검 기준서 및 점검표
5.F/PROOF 정기점검
6.설비 작동 누유/누수 - 전부터 지속적 파악 개선
7.소모품 교체 주기 설정/교체 주긴 준수 교체후 적합성 체크

8.사출기 아날로그 게이지 탈거
9.F/PROOF 실제 가동 작동 상태 점검
  - 실제 가동상태 점검 문제점 파악 개선

10.설비별 예비품 관리대장(예비품 보관장 정리 정돈)
   - 공통 예비품,설비별 예비품 구분
   - 전년 사용량 대비 예비품

11.냉각수 설비 일상/정기 점검(기준서,점검표)
  - 냉각수 입출수
설비 전체 LIST(설비별 등급 구분 관리 기간 설정)
설비 이력카드
년간 사출기 정기 예방점검 계획서
년간 사출기 점검 계획 대비 실적(외부의뢰 포함)
      - 8월 외부의뢰 실적
사출기 일상점검 기준서/점검표(도식화 포함)
사출기 점검 체크시트

F/PROOF LIST
F/PROOF 일상점검 기준서 및 점검표
F/PROOF 정기점검

설비예비품 보관장정리 - 권팀장
설비예비품 관리 대장
설비 예비품 보관장 정리
설비 예비품 보관 현황판 부착

냉각관련 설비 일상 정기점검 기준서 작성
냉각관련 설비 점검 실적
냉각 입출수 온도계 및 현황판 설치
  - F/PROOF 현황판
생산팀  
기준  1) 설비 일상점검 관리기준 미설정 및 일상점검 미실시중 0
 2) 설비 일상점검 관리기준 설정하여 일상 점검중이나 일부항목 점검 누락 1
 3) 설비 일상점검 및 게이지 검교정 등 실시중이나 일부 요건사항 불만족함  1.5
 4) 설비 일상점검 및 게이지 검교정 등 요건사항 만족함 2.5
 5) 설비 일상점검 및 게이지 검교정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개선활동 연계상태 우수함 3
3-2 항목  설비 예방보전 활동을 위한 정기점검 실시 및 예비부품 관리상태 3 3-2항      
요건
사항
 ▷ 설비 정기점검 계획 수립 및 실시상태 (외주업체 정기점검 성적서 포함, 최소 1회/년)
 ▷ 중요 설비별 정기점검 기준 수립 및 활용상태
 ▷ 설비 소모품 및 중요 예비부품 관리상태 (안전재고 관리)
     - 소모품 교체주기 설정근거 유효성(T/O 이력, 적합성 검토결과)
 ▷ 설비 보전활동에 따른 개선활동 실시상태
 ▷ 금형 정기점검 실시상태
     - 금형전산화 및 주1회 이상 UPDATE
1.금형 전체 LIST 및 등급/중요 관리 기준 설정
2.금형 이력관리 카드
3.금형 쇼트 관리 표준 

1.금형 일상점검 기준서 및 점검표(도식화 포함)
2.2017년 금형 정기예방 점검 계획
3.금형보호 장치용 L/S/W 부착 및 장비연동 작동 상태
4.금형세척주기 기준/실적표
5.소모품 교체 주기 설정/교체 주긴 준수 교체후 적합성 체크
6.금형 현황판
7.금형 예비품 관리대장

* 금형보관장 L/OUT,설비 배치 L/OUT
   - 금형보관장 현황판 제작 부착
   - 캡 제작 부착
   - 금형 수정후 반드시 T/O 보고서 작성 보고
   - 금형 MASTER LIST 작성(금형 온도센서 부착금형,안전 금형 안전장치 부착 금형등
     표기 및 분류)
작동유 점검 계획 및 실적(보충/교환 현황)
사출 성형기 유압 작동유 분석 DATA - 날짜만 바꾸면 됨

금형 전체 LIST
금형 이력관리 카드
2017년 금형 정기 점검 계획/실적(사진포함)
금형보호장치용 L/S/W 부착 LIST
금형세척 주기표/실적(사진 포함)
소모품 교체 주기/실적(사진포함)
금형 현황판 제작 부착(재활용)
금형 예비품 관리 대장 작성(금형실 예비품 보관장 점검)
  - 전상훈
금형 예비품 보관장 현황판 부착/현황관리
금형 캡 장착 여부 확인(금형 정리 후 캡 구매)
금형 T/O 보고서 작성
금형 온도 센서 부착 위치 결정
금형 온도 센서 부착(자동차 금형 only)
  - 10개 구매  장착(상측/하측)
생산팀
000과장


금형팀
2017-08-22





기준  1) 설비별 정기점검 실시계획 미수립  0
 2) 설비 정기점검 실시계획 수립중이나 일부 설비별 점검기준 미수립 1
 3) 설비 정기점검 계획대로 실시중이나 일부 설비 보수 및 수리 요구됨 1.5
 4) 설비 정기점검 및 예비부품 관리 등 요건사항 만족함 2.5
 5) 설비 정기점검 및 예비부품 관리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재발방지 개선활동 지속 실시됨 3
               
Ⅲ. 평가서          
               
 Ⅰ.공통 요구사항 (검사/시험)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4-1 항목  ☆(안전부품)1차 협력사 검사협정 체결 및 정기 검사/시험 실시상태, 도면일치성 점검 4 ☆ 3.5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안전부품)      
요건
사항
 ▷ 품목별 검사협정 체결 및 승인본 보유상태
 ▷ 검사기준서내 검사기준/주기 표준류(관리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반영상태
 ▷ 년간 정기검사/신뢰성 시험 실시 및 근거자료 보유상태
     - 시험주기 및 시료수 검사협정서 일치여부
     - 시험성적서 신뢰도 확보
        (성적서 시험 전/후 사진 첨부, 사진內 시험 날짜표시, 3차원 측정 데이터 유첨 등)
 ▷ 환경규제(중금속) 정기시험 실시상태 : 1차 협력사 또는 공인기관 의뢰
 ▷ 도면 및 부품 일치성 기준수립 및 점검 실시여부
     - 품목별 1회/분기 점검
1.자동차 아이템 전체 LIST 대비 검사 협정 및 ISIR 승인 실적
2.정기검사 계획 및 실적(신뢰성 포함)
3.중금속 정기 시험 계획 및 실적

4.도면및 부품 일치성 기준 수립 및 점검 실시 실적
  - 1차사 기준서 접수 수행!! - 품질
전체 생산 아이템 리스트
  - 자동차,전자 구분 작성
H/KMC ITEM 고객사 검사 협정 서류 철
고객사 초도품 승인 관리대장
년간 정기검사 계획 및 실적(신뢰성,중금속 시험 포함)
도면 및 부품 일치성 기준 수립 및 점검 실시 실적
  - 1차사에서 벤치마킹(품질)
품질 08월 25일
기준  1) 제품별 검사협정 미체결로 검사기준서 설정 및 실시 안됨 0
 2) 일부부품 검사협정 미체결로 검사기준서 설정  및 실시 미흡 1
 3) 검사협정 체결, 완성품 검사기준 반영 및 정기검사 등 요건사항 일부 누락됨 2
 4) 검사협정 체결, 완성품 검사기준 반영 및 정기검사 등 요건사항 만족함 3.5
 5) 검사협정 체결, 완성품 검사기준 반영 및 정기검사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개정상태 우수함 4
4-2 항목  계측기 보유/관리상태, 검교정 실시 상태 (게이지R&R 포함) 4 4-2항      
요건
사항
 ▷ 계측기, 검사구 신뢰성 확보상태 (검교정 주기설정, 교정상태)
 ▷ 계측기 검교정 계획대비 실적 관리상태 (계측기 검교정 성적서, 태그 부착상태 등)
 ▷ 정기적인 게이지 R&R 실시 상태
     - 계측 장비별 게이지 R&R 검증 진행여부 (계측기 사용 품질 및 생산 검사원)
 ▷ 고가 계측기 경우 1차 협력사 또는 공인기관시험 인정 (예 : 3차원 측정기, 성분분석기 등)
1.계측기 관리대장
2.계측기 점검 계획/실적
3.계측기 검교정 계획/실적

4.게이지 R&R (계량치,계수치)
  - 작업자,검사자,수입검사자등 실제 계측기 사용자간
1.계측기 관리대장
2.계측기 점검 계획/실적
3.계측기 검교정 계획/실적

4.게이지 R&R (계량치,계수치)
  - 작업자,검사자,수입검사자등 실제 계측기 사용자간
품질 08월 25일
기준  1) 필요 계측기 미보유 및 검교정 미실시(외부 미의뢰 포함) 0
 2) 필요 계측기 일부 미보유 및 검교정 미실시 1
 3) 필요 계측기 보유 및 검교정 실시중이나 게이지 R&R 미실시 2
 4) 필요 계측기 보유 및 검교정 실시상태 양호하며, 게이지 R&R 실시중 3.5
 5) 필요 계측기 보유/ 검교정 및 게이지 R&R 실시상태 우수 (사후조치 및 실시이력 양호) 4
Ⅲ. 평가서          
               
 Ⅰ.공통 요구사항 (품질경영)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5-1 항목  품질경영체제 구축/유지를 위한 조직구성 및 업무분장 관리상태 2 5-1항      
요건
사항
  ▷품질 경영체제 구축/유지를 위한 조직구성 및 운영상태
     - 경영자/임원 점검(1회/월) : 실무자 업무표준 준수상태 및 시정조치 여부 
     - 품질 매뉴얼/절차서/지침서 구비 및 적용상태
     - 구축/안정화를 위한 조직구성 여부
     - 구체적인 업무분장 수립상태
1.품질경영체제 절차서
2.사업계획 및 실적
3.부서별 업무 분장표
4.부서내 담당자별 업무 분장표

5.KPI
품질경영 절차서 및 지침서 목록
품질 조직도
부서별 업무분장표
부서내 담당자별 업무 분장표
KPI

내부 감사 실적
품질 양과장 협의
(양식)
완료
품질 완료
품질 완료
양과장 협의
(양식)

8/22
기준  1) 품질경영체제 구축 / 운영을 위한 팀, 부서 조직구성 안됨 0
 2) 품질경영체제 구축 / 운영을 위한 팀, 부서 조직구성 되었으나 업무분장 미수립 0.5
 3) 품질경영체제 유지를 위한 조직구성 및 업무분장 수립되었으나 업무목표 설정 형식적   1
 4) 품질경영체제 유지를 위한 조직구성 및 업무분장 수립되어 업무목표/ 실적관리 양호 1.5
 5) 조직구성/업무분장에 따라 업무 추진되며, 목표달성을 위한 개선활동 실행 우수함 2
5-2 항목  신입/전입 작업자 및 관리자 교육 (특별특성 공정 및 외국인 작업자 포함) 2 5-2항      
요건
사항
 ▷ 특별특성공정 파악/관리
   - 중요공정 작업자 및 검사자/시험자 자격인증 기준 수립, 자격부여 및 갱신 상태
      ⇒ 자격인증 기준 : 부적합 검출능력 실기평가, 교육, 경력, 해당부문 평가(필기/실기) 등
 ▷ 작업자 특별특성/일반 공정 배치기준 수립여부
      - 공정별 작업자 배치기준 수립상태
      - 특별특성공정 등 중요공정 외국인 작업자 배치시 자격인증 평가 및 표준류 반영상태
 ▷ 정기적 품질 중요성에 대한 전직원 교육 실시여부
      - 리콜/캠페인 등 고객사 품질문제 발생시 회사에 미치는 영향성 (대외이미지, 비용부담 등)
 ▷ 작업자/검사자 자격인증 평가 적합성 및 실명제 등록/관리 상태
      - 검사원 자격인증시 계량형/계수형 검출능력 평가 실시결과
      - 공정별 작업자/검사자 배치기준 수립 적합성
1.2017년 교육 계획 및 실적
  - 사내 교육 계획 / 실적
  - 사외 교육 계획 / 실적
2.작업자 교육 계획 /실적
3.작업자 다 기능표 대비 배치 공정 지정
4.작업자 자격 인증(검사원,특별공정 작업자,보안제품 공정 작업자)
  - 검출력 평가(계량치,계수치):평가 근거 보관(평가용 제품등)

5.사내 교육 교안 제작(양과장)
  1)3정5행
  2)산업 안전 및 일반관리 사항
  3)생산관련 내용(설비 점검/예방 보전)
  4)품질관련
     -  품질일반
     - 부품 품질 내용
  5)사출일반(사출 원리 및 제품 품질 판단 방법등)
1.2017년 교육 계획 및 실적
  - 사내 교육 계획 / 실적
  - 사외 교육 계획 / 실적
2.작업자 교육 계획 /실적
3.작업자 다 기능표 대비 배치 공정 지정
4.작업자 자격 인증(검사원,특별공정 작업자,보안제품 공정 작업자)
  - 검출력 평가(계량치,계수치):평가 근거 보관
     (평가용 제품등)

5.사내 교육 교안 제작(양과장)
  1)3정5행
  2)산업 안전 및 일반관리 사항
  3)생산관련 내용(설비 점검/예방 보전)
  4)품질관련
     -  품질일반
     - 부품 품질 내용
  5)사출일반(사출 원리 및 제품 품질 판단 방법등)
품질 점검
8/22
기준  1) 교육 절차 문서화 및 계획수립 안되어 관리자 교육 미실시 0
 2) 년간 사내/사외 교육계획 수립 되었으나 계획대로 진행 안됨 0.5
 3) 년간 사내/사외 교육계획 수립 되었으나, 교안준비 부족 및 교육 일부 미실시  1
 4) 년간 사내/사외 교육훈련 실시 및 자격인증부여 관리상태 양호 1.5
 5) 년간 교육실행 우수하며 중요공정 작업자, 검사자 자격인증 관리상태 양호 2
5-3 항목  품질관리 취약 시간대 관리 및 부적합 유출방지 업무 프로세스 수립 상태 2 5-3항      
요건
사항
 ▷ 품질관리 취약 시간대 관리기준 수립 및 관리상태
   - 주간/야간 작업전 일상점검, 자주검사 및 순회검사 관리기준 수립 및 관리상태

 ▷ 이상품 발생시 관리기준 수립 및 교육 상태
   - 수입검사/생산공정/최종검사 과정중 부적합(추정)품에 대한 격리/식별절차 수립 및 교육
     (업무처리 메뉴얼 작성 및 현장내 게시여부, 계약직 포함 전 임직원에 대한 교육 실시여부

   - 설비 가동중단(계획/비계획)후 재가동시  업무처리 절차 수립 및 현장내 게시관리 필요
     (설비 및 재공품 품질검증 절차)
1.야간조 주요 이슈품 보관장 설정
   주간조에서 판단
  * 야간조 불량 이상품 보관장 지정 설치

2.재료 퍼지 기준 재질별 관리 기준 설정
   - 양과장
야간조 주요 이슈품 보관장 설정
비상사태 조치 요령서
  - 설비 이상
  - 다량 불량 발생
  - 안전사고
  - 정전,설비이상등


재료 퍼지 기준 설정
  - 재질별 관리 기준 설정


부적합품 격리장 - 8/10까지 결정(품질 곽과장 주관)
   - 부적합품 관리 die 제작
생산,품질
생산






생산(00과장)
2017-08-25







8/23
기준  1) 품질관리 취약 시간대 관리기준 수립 안됨 0
 2) 관리기준 수립되어 있으나, 관리기준 미흡 및 관리 안됨 0.5
 3) 관리기준 수립은 양호하나, 이상품 발생시 사후조치 미실시 또는 관리상태 미흡 1
 4) 관리기준 수립 및 관리상태 등 요건사항 만족함 1.5
 5) 관리기준 수립 및 관리상태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문제발생시 분석/개선조치 우수함 2
5-4 항목  공정/고객 부적합품 시정 및 시정조치, 유효성평가 (품질 목표/실적 포함) 4 5-4항      
요건
사항
▷ 품질목표 수립 및 세부 실시계획 수립, 품질실적  관리
   - 전년도 대비 목표 대비 실적관리 (1차 협력사 주관 VAATZ 전산 입력)
      ⇒ 공정불량 (생산수량, 불량수, PPM), 고객불량 (납품수량, 불량수, PPM),
          외주불량(입고수량, 불량수, PPM)
   - 목표 미달에 대한 개선대책 수립 및 지속적인 성과관리 (입고/공정/고객 클레임)
      → 불량 워스트 항목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분석 및 개선대책 수립/유효성 평가 실시상태
      → 고객사 입고불량 및 필드 클레임 문제점에 대한 고품분석 및 시정조치 활동 실시여부
   - 공정 부적합품 보관박스 별도 비치(RED BOX) 

☆ 부적합품 후공정 유출방지 활동 강화
생산중 부적합품 발생수량과 실제 수거량 비교를 통한 부적합품 후공정 유출 발생여부 점검활동 실시[점검이력 보관]
1.흰색 박스 불량 격리용 사용 2016년도 품질 사업실적
2017년도 품질 사업계획
  - 공정불량
  - 수입검사 불량
  - 완성품 불량
  - 출하검사 불량
  - 고객 불만
  - 고객 반송불량
  - 고객 클레임
주간/월간/년 품질 실적 집계 분석 및 대책 수립
  - 대책 수립에 대한 유효성 검증, 수평전개
품질 양식 변경
8/30
기준  1) 공정/고객/외주 불량현황 집계관리 미실시 0
 2) 공정/고객/외주 불량현황 관리중이나 목표설정 근거미흡하며 실적관리 일부 누락됨 1
 3) 공정/고객/외주 불량현황 집계중이나 품질문제 개선활동 미흡함  2
 4) 공정/고객/외주 불량현황 집계 및 개선활동 등 요건사항 만족함 3.5
 5) 공정/고객/외주 불량현황 집계, 개선 등 요건사항 만족하며 타차종 수평전개 활동 우수함 4
Ⅲ. 평가서          
               
 Ⅱ. 업종 요구사항 (원재료 관리)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6-1 항목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설정 및 원재료 활용현황 관리상태  3 6-1항      
요건
사항
 ▷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자료 ( 신재투입량, 스크랩 발생량 등 )
 ▷ 스크랩 발생량 처리 근거 자료 (스크랩 매각내역, 스크랩 배합일지 등)
 ▷ 원재료 사용량 절감을 위한 개선활동 근거 자료 
1.생산 호기 작업 일보 및 각종 자료에 원재료 투입 L/NO. 기록
2.생산관리 실적에 따른 실제 사용한 원재료 소요량 파악
  -폐기량과 일치 해야함
   (양식 받아서 쳐 넣기만 하면 된다고 함)
3.스크랩 발생량 관리대장(원재료별,사용량,양품량,폐기량 관리)

* 웰테크 전체 벤치 마킹
생산 호기 작업 일보 원재료 LOT 기록
서랍식 건조기 건조 일보에 원재료 LOT 기록
원재료별 자재 수율 관리
  - 웰테크 양식 접수 사용 검토
스크랩 발생량 및 매각 대장 
생산
생산
자재

자재
 
기준  1)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미설정 0
 2)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설정중이나 품목별 스크랩 발생량 미설정중 1
 3)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설정중이나 일부 부품 기준 누락됨 (개정관리 미실시) 1.5
 4)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설정중이며 스크랩 발생량 처리근거 확보중 2.5
 5) 생산품목별 원단위 중량 관리기준 설정중이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3
6-2 항목  F/P.원재료 건조기, 공급장치 활용 및 필터관리 상태 4 6-2항      
요건
사항
 ▷ 원재료별 수분함유량 관리기준 및 건조온도, 시간 표준 설정상태
   (기준 설정 근거자료 확보)
 ▷ 원재료 건조 후 수분측정 데이터 (측정기 출력 데이터만 인정) (샘플 실측 요망)
 ▷ 건조기, 공급장치 필터 교체이력 관리 및 공급라인 청소, 원재료 높이 감지센서 활용상태
 ▷ 장기/불용 원재료 관리기준 및 별도 구분/식별관리
 ▷ 원재료 보관상태(포장상태,이물관리,열화방지 등
 ▷ (F/P) 건조호퍼 투입시점 경보장치 설치 및 수분율 검사 (원재료 투입시점 알림으로 미건조 예방)
     - 원재료 수분검사 시기 : 건조호퍼 중단후 재가동시 및 원소재 종류 변경시
     - 건조호퍼 원재료 적정잔량 부족시 경광등 작동
    -  원재료 성형기 투입직전 수분율 측정, 전산기록(성적서 보관)
       * 전산기록 : 사후에 PC화면으로 조회 가능하면 됨.
         예) 스캔, 수동입력(엑셀 등), 자동기록 등 모두 가능
    - 중앙집중식 원재료 피딩시 원재료 통에 센서 설치 가능
1.수분측정 프로그램 구입 매일 몇시에 누가 측정한다
2.수분율 측정 추이 분석(수분 측정 전.후 DATA)
3.수분 측정 작업표준서& 수분율 관리 기준
4.원재료 건조 온도 및 건조시간 표준
5.원재료 이물관리 기준

6.호기별 필터 교체 주기 표(4대 설치 운영)

수분율 측정 프로그램 구입 설치 후 측정 추이 분석
수분율 측정 작업 표준서 및 관리 기준

원재료 건조 온도 및 건조시간 표준
원재료 이물 관리 기준
호기별 필터 교체 주기표(4대 운영)
  - 필터 점검  - 호기별 필터 교체 주기(1회/3월)
  - 원재료 적정잔량 감지 센서 설치(설치완)
     : 경광등 설치 호기 확인(8/22 - 회의 종료후)

품질
품질

생산
생산
생산
소프트웨어
다운 완료
8/16
수분측정
진행중

지속적 관리
기준  1) 재료별 수분함유량 관리기준, 건조기준 미설정중 0
 2) 재료별 수분함유량 관리기준, 건조기준 설정중이나 수분측정 미실시 1
 3) 재료별 수분함유량 관리기준, 건조기준 설정중이나 필터 교체관리 미흡 2
 4) 재료별 수분함유량 관리기준, 건조기준 준수되며 필터 및 공급라인 교체/청소 관리중 3.5
 5) 재료별 수분함유량 관리기준, 건조기준 준수되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4
6-3 항목  ★신재, 스크랩 혼합기준 설정 및 준수상태 6 ★ 4.5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      
요건
사항
 ▷ 재료별/품목별 신재, 스크랩 혼합표준 및 혼합일지(배합일지) 기록상태
 ▷ 스크랩 혼합재료 물성 시험자료 및 고객(1차 협력사) 승인자료
 ▷ 스크랩 혼합기 관리상태(자동혼합기, 타이머)
 ▷ 정기적인 혼합비율 검증자료 (샘플 실측 요망)
 ▷ 격리된 분쇄실 운영상태 및 재료별 분쇄기 활용상태
 ▷ 분쇄기 칼날 및 이물관리 점검기준, 기록상태 (일상점검표)
 ▷ 외주업체 재생재 사용시 과락점수 적용 (자체 공정내 재생라인 운영시 제외)
* 사용 안함 사용않하는 걸로 심사 실시
모든 근거 삭제
8월 부터 신재만 사용
자재
생산
품질
 
기준  1) 재료별/품목별 신재, 스크랩 혼합표준 미설정 0
 2) 재료별/품목별 신재, 스크랩 혼합표준 설정중이나 혼합이력 미관리 1.5
 3) 재료별/품목별 신재, 스크랩 혼합표준 설정 및 혼합이력 관리중이나 주기적 혼합량 미측정 3
 4) 재료별/품목별 신재, 스크랩 혼합표준 설정 및 혼합이력 관리중이나 주기적 혼합량 측정중 4.5
 5) 원재료 혼합표준 설정 및 혼합이력 관리중이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6
Ⅲ. 평가서          
               
 Ⅱ. 업종 요구사항 (공정관리)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7-1 항목  F/P.성형조건 설정, 준수 및 기록상태 4 7-1항      
요건
사항
 ▷ 사출 성형공정 주요 관리조건 수립 및 관리상태
     - 온도, 시간, 압력, 속도, 보압, 쿠션량 등
     - 작동유 온도/점도, 냉각수 IN/OUT 온도
 ▷ 관리조건 이상발생시 알람기능 활용상태 및 일일 작업조건 기록상태
 ▷ (F/P) 성형조건 전산기록 및 경보장치 설치 (성형조건 추적관리 및 조건 임의변경 방지)
   - 성형조건 규격 이탈시 경광등 작동
   - 성형조건 초중종 단위, 조건변경시 전산기록 (전산백업 권장)
     * 전산기록 : 사후에 PC 화면으로 조회 가능하면 됨
         예) 스캔, 수동입력(엑셀 등), 자동기록 등 모두 가능
   - 성형 조건 (제품별 성형조건 기준, 설비공차 누적 포함)
      * 필수 설치 → 노즐온도(수지온도) : ±5℃ / 작동유 온도 : ±5℃
      * 냉각수(설비/금형) 입/출수 온도관리 여부
             → 설비 일상점검시 육안기록관리 : ±3℃ (경보장치 권고사항)
      * 기타 성형조건(압력,속도,위치,계량,시간 등) : ±5%
1.성형조건표
2.중요공정 LOT 기록표(일일조건 기록 카드)

※ 일반요구사항의 공정관리 항목과 동일 관리
   각종 조건 누락 유무 및 관리 공차 내 관리 가능 유무 파악 셋팅
아이템별 성형 조건표(작업표준/관리계획서)
F/PROOF 작동 상태
  8월 2주차 토요일 작업표준 대비 실세 조건 셋팅

6호기 f/proof 신규 설치
F/PROOF 사용법 검색 출력 설비별 부착
작업표준,검사표준
생산
품질
자재

합동
 
기준  1) 부품별 성형조건 기준 미설정 0
 2) 부품별 성형조건 기준 설정중이나 미준수, 미기록 1
 3) 부품별 성형조건 기준 설정 및 준수중이나 일부 관리항목 미일치, 부분적 기록누락 2
 4) 부품별 성형조건 기준 설정 및 준수중이며 기록상태 양호함 3.5
 5) 부품별 성형조건 기준 설정, 준수, 기록 양호하며 이상발생에 대한 알람기능 활용상태 우수함 4
7-2 항목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 및 준수상태  4 7-2항      
요건
사항
 ▷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 근거 명확화 관리여부(T/OUT 보고서)
     → T/O 성형조건 기록, 미성형/외관/치수/중량 검증을 통한 폐기수량 셋팅여부(기록물)

 ▷ 성형조건 변경시 초기 허용불량 폐기 준수상태 및 이력관리
   - 업무절차, 기록물(작업일보 or 자주검사 체크시트), 현장 분리보관 상태 등
1.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 근거
2.시업승인 절차 및 관리(공정관리 절차서)
3.현장 작업자 확인기준 및 검사원 외관 판정기준
4.예열기 표준(재료별,품목별 예열 조건)
5.예열기 기록 관리대장

* 성형조건등 변경 후 초기 허용 처리 절차
1.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 근거
2.시업승인 절차 및 관리(공정관리 절차서)
3.현장 작업자 확인기준 및 검사원 외관 판정기준


* 성형조건등 변경 후 초기 허용 처리 절차
품질 완료
기준  1)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미설정중 0
 2)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중이나 근거자료(T/OUT 보고서) 없음 1
 3)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중이나 근거자료 부분적 누락 및 준수상태 불분명함 2
 4)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근거자료 포함) 및 준수상태 양호함 3.5
 5) 품목별 초기 허용불량 기준 설정 및 준수상태 양호하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4
7-3 항목  제품 취출장치 및 금형 보호장치 활용상태  3 7-3항      
요건
사항
 ▷ 제품 취출기 활용(로봇취출기, 자동낙하, 작업자 수작업 취출 등) 및 부품변형 방지 관리상태
 ▷ 금형 보호장치 설치 및 관리상태 (작동상태, 정기점검 실시상태 등)
* 6호기 10호기 자동 낙하 거리 단축조정
  - 낙하부 종이 박승 사용 제한
     타 방법 파악 벤치마킹!!



* 금형부분 8-4항 중복
7-1항 수행시 확인    
기준  1) 제품 취출관리 미실시로 부품변형 발생 가능 0
 2) 제품 취출관리중이나 일부부품 변형 발생 가능 1
 3) 제품 취출관리중이나, 금형 보호장치 일부 미설치중 1.5
 4) 제품 취출관리중이며, 금형 보호장치 설치 운영상태 양호함 2.5
 5) 제품 취출관리 및 금형 보호장치 설치 운영중이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3
7-4 항목  ★F/P. 자주검사 기준설정 및 준수, 기록상태 6 ★ 4.5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      
요건
사항
 ▷ 주요 품질특성 게시, 한도견본 설정, 계측기 보유 상태
 ▷ (전산) 자주검사 기준설정 및 검사결과 전산기록
    - 초중종품 외관, 중량, 치수 등 (안전, 보안등 중요부품 캐비티별 검사)
    - 주요 품질특성 게시, 한도견본 설정, 계측기 확보
    - 자주검사 전산기록, 불량품 시정조치 내역 및 이력관리
     * 전산기록 : 사후에 PC화면으로 조회 가능하면 됨.
         예) 스캔, 수동입력(엑셀 등), 자동기록 등 모두 가능
 
※ 융착부품 제조 협력사

▷융착부 자주검사 항목 반영 및 관리상태
     - 정밀융착(기밀성능 확보)  : 전둘레 융착돌기 검사(4개소 이상)
     - 일반융착(고정목적) : 용접부 이탈강도 확인 및 추이도 분석
* 한도견본관리 : 1-2항 중복
* 특별특성
    - 보안 부품 중량으로 설정관리
    - 현장 기록 노트북 키보드 막음(검사일자 관리자가 일자별 블루트스 키보드로 입력)
                              
* KNOB 인쇄 불량 개선 실적 작성 
* 특별특성
    - 보안 부품 중량으로 설정관리
    - 현장 기록 노트북 키보드 막음
      (검사일자 관리자가 일자별 블루트스 키보드로 입력)
                              
* KNOB 인쇄 불량 개선 실적 작성 
품질 데이터
확보 예정
8/29
기준  1) 제품별 자주검사 기준 미설정중 0
 2) 제품별 자주검사 기준 설정중이나 미준수 (미기록) 1.5
 3) 제품별 자주검사 기준 설정중이나 부분적 검사누락 되었거나 데이터 신뢰성 없음 (허위작성) 3
 4) 제품별 자주검사 기준 설정중이며 준수, 기록상태 양호함 4.5
 5) 제품별 자주검사 기준 설정, 준수, 기록상태 양호하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6

 

Ⅲ. 평가서          
               
 Ⅱ. 업종 요구사항 (금형관리)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8-1 항목  ★F/P.금형 예열시간 표준화 및 준수 상태 3 ★ 2.5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      
요건
사항
 ▷ 금형 예열기 보유 및 예열작업 공간 확보상태
 ▷ 재료별/품목별 금형 예열시간 표준 설정 및 이력관리 상태
 ▷ (F/P) 금형 예열기 확보 및 경보장치 설치
   - 금형 예열기는 열용량 CAPA내 복수 연결하여 사용 가능
   - 예열기 : 세팅값 ±3℃
예열대 제작
당일 사용 않함

* 금형예열대 찍어 와서 밴치마킹
  - 금형예열장소 선정 및 배치

4.예열기 표준(재료별,품목별 예열 조건)
5.예열기 기록 관리대장
예열대 제작
  - 웰테크 방문하여 예열태 벤치마킹
  - 위치 선정
  - 금형 예열 표준 작성 게시


4.예열기 표준(재료별,품목별 예열 조건)
5.예열기 기록 관리대장
000  
기준  1) 재료별/품목별 금형 예열시간 표준 미설정중 0
 2) 재료별/품목별 금형 예열시간 표준 설정중이나 별도 예열기 미확보로 작업효율 저하됨  1
 3) 재료별/품목별 금형 예열시간 표준 설정 및 별도 예열기 확보중이나 이력관리 미흡 1.5
 4) 재료별/품목별 금형 예열시간 표준 설정 및 별도 예열기 확보중이며 이력관리 양호 2.5
 5) 금형 예열시간 표준 설정 및 이력관리 양호하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 3
8-2 항목  금형설계/ 제작관리/ 시사출/ 검사이력 관리상태 3 8-2항      
요건
사항
 ▷ 금형 신규제작 관련 시사출(T/OUT) 보고서 및 성형/강도해석 자료
 ▷ 신규금형 시사출 관련 문제점 검토, 개선 근거자료
 
 ※ 융착공정 해당 협력사

 ▷ 융착 JIG 제작 기준 (융착부 전면적이 눌릴 수 있도록 JIG 설정)
 ▷ 융착 JIG 가압면 면압 정기 측정
1.T/OUT 보고서 및 강도해석 자료
2.금형시사출 문제점 개선자료(금형이관자료)
3.유동해석자료
4.금형 수리이력카드
5.메인크렌스 계획대 실적(현황 OR 전산화)
6.금형 수명관리 대장(전산관리)
7.쇼트수 기준 정기점검 & 세척주기 설정 기준

* 개발에서 준비
  개발  
기준  1) 금형 신규제작시 시사출 보고서 미확보중 0
 2) 금형 신규제작시 시사출 보고서 확보중이나 개선활동 미시행 1
 3) 금형 신규제작시 시사출 보고서 확보중이나 개선활동 불충분함 1.5
 4) 금형 신규제작시 시사출 보고서 확보중이며 개선활동 양호함 2.5
 5) 금형 신규제작시 시사출 보고서 확보 및 개선활동 양호하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3
8-3 항목  금형보관, 현황관리 및 수리/점검 관리상태  4 8-3항      
요건
사항
 ▷ 금형보관대, 현황판 운영상태 및 이물유입 방지, 냉각수 탈수 상태
 ▷ 정기적인 금형 세척, 점검, 수리, 수명관리 기준설정 및 수리이력관리 상태 (금형이력카드)
 ▷ 금형 보수용 S/part 관리상태 및 및 점검인원 확보 상태. 금형 보수후 생산부품 검증자료
 ▷ 엠보(EMBO)금형 정기 샌딩/ 부식관리 및 제품 검증 근거자료 (광택도, 색상관리 등)
 ▷ 금형 쇼트수 기록 관리 및 쇼트수 기준 정기정검 & 세척 주기 설정 상태
1.년간 금형 점검 계획/실적
2.금형점검 CHK SHET / 실제 수행 사진
  - 사진 촬영시 상판,하판 분해 후 촬령 순서대로 세척후 결과물 역으로 촬영 금형 조립
3.금형 LIST
4.금형 숏트수 관리

3.금형 배치 현황판 밴치마킹
  - 노즐 커버 밴치마킹

4.금형 보관장 수리 보관장별 적치 리스트 부착
  
1.년간 금형 점검 계획/실적
2.금형점검 CHK SHET / 실제 수행 사진
  - 사진 촬영시 상판,하판 분해 후 촬령 순서대로 세척후 결과물 역으로 촬영 금형 조립
3.금형 LIST
4.금형 숏트수 관리

3.금형 배치 현황판 밴치마킹
  - 노즐 커버 밴치마킹

4.금형 보관장 수리 보관장별 적치 리스트 부착
생산  
기준  1) 금형보관대 미설치 되고, 현황관리 미실시중 0
 2) 금형보관대 운영, 현황관리 실시중이나 이물유입 방지 및 탈수관리 미흡함 1
 3) 금형 이물유입 방지 및 탈수관리 양호하나 세척, 점검, 수명관리 미흡함 (샌딩/부식 포함) 2
 4) 금형 이물유입 방지 및 탈수관리 양호하며 세척, 점검, 수명관리 양호함 (샌딩/부식 포함) 3.5
 5) 정기적인 금형점검을 통한 개선이력 관리 양호하며, 상기 요건사항 모두 만족함 4
8-4 항목  ★F/P.금형 표면온도 관리기준 설정, 준수상태 및 주변설비 확보상태 5 ★ 4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      
요건
사항
 ▷ (F/P) 금형 온도 측정 자동화 및 경보장치 설치 (금형온도 실시간 확인 및 측정 실효성 향상)
     - 금형 고정측/ 이동측별 F/P 계측센서 적용 [13년 3월 이후 개발금형품~]
        → 금형내 온도센서 삽입 자동측정 및 경광등 설치 ±2.5℃ ~ 5℃)
            (600t이하 : 센서 1개소 이상, 온도편차 ±2.5℃이내 / 600t이상 : 2개소 이상, 온도편차 ±5℃이내)
 ▷ 금형별 표면온도 관리기준 설정 및 측정/기록상태 (샘플 실측 요망)
     - 금형 표면온도 정기적 실측 점검활동 및 이력관리 실시상태
        → 금형별 고정축/이동측 표면온도 측정위치 지정관리 여부
        → 점검주기 : F/P 온도센서 반영시 1회/월 이내, F/P 미반영시 1회/LOT별
 ▷ (F/P) 금형 온도조절장치 확보 및 경보장치 설치 (금형온도 유지설비 확보로 성형불량 예방)
     - 온도조절장치는 열용량 CAPA내 복수 연결하여 사용 가능
     - 온도조절장치 경광등 설치 : 세팅값 ±3℃
 ▷ 모든 금형 온도조절장치(온수기, 온유기, 칠러) 사용    예)  PP 원소재 금형 칠러 사용
 ▷ 금형온도 센서 설치 : 최소 2점 이상 (냉각수 입구,,출구 주변으로 온도변화가 큰 위치 ->16년 신규금형부터 적용)
1.2013년 이후 제작금형 금형 센서 부착 LIST
2.총 몇벌 중 몇벌 입니다

* 금형 온도 센서 부착 대상 금형 파악 부착(내장)
금형 온도 감시 센서 타입 및 위치 재 설정 필요
  - 당일 작업 금형 필히 맞추어야 함

3.금형별 표변온도 관리 기준(측정 POINT 기록,측정주기,온도편차)
4.온도 측정 기록 그래프(상/하측 2점 이상)
5.성형기별 온도 조절장치 보유 대수

* 2-1항 점검시 동시 점검 및 개선
2-1항 수행시 금형 온도 측정 위치 및
금형 온도 센서 위치 선정 센서 부착

2013년 이후 제작금형 금형 센서 부착 LIST

* 금형 온도 센서 부착 대상 금형 파악 부착(내장)
금형 온도 감시 센서 타입 및 위치 재 설정 필요
  - 당일 작업 금형 필히 맞추어야 함

금형별 표면온도 관리 기준
   (측정 POINT 기록,측정주기,온도편차)
온도 측정 기록 그래프(상/하측 2점 이상)
성형기별 온도 조절장치 보유 대수
   
기준  1) 금형별 표면온도 관리기준 미설정중 0
 2) 금형별 표면온도 관리기준 설정중이나 별도의 측정, 기록 미실시 1.5
 3) 금형별 표면온도 측정, 기록 실시중이나 측정주기 미준수 or 데이터 신뢰성 없음 (허위작성) 2.5
 4) 금형별 표면온도 관리기준 설정 및 측정, 기록상태 양호함 4
 5) 금형별 표면온도 관리기준 설정 및 측정, 기록상태 양호하며 주변설비 확보상태 우수함 5
Ⅲ. 평가서          
               
 Ⅱ. 업종 요구사항 (완성품검사)          
NO 질의 사항 점수 지적사항 / 관찰사항 준비 서류 담당 일정
9-1 항목  ★완성품 검사기준 설정 및 준수상태 5 ★ 4점 미만시 과락제 적용      
요건
사항
 ▷ 完成品(완성품) 검사기준 설정 및 주요 품질특성, 한도견본 설정상태
    - 외관, 치수, 취약부 절단면 검사, 상대물 조립성 검증 등 (샘플 실측 요망)
 ▷ 검사자 자격인증 관리기준 설정 및 검증, 자격갱신 상태
 ▷ 검사요원의 주야간 배치 관리상태

 ※ 융착공정 해당 협력사

 ▷ 전 융착부 LEAK검사 (전수)   ->  LEAK검사 대상 부품 
     -  LEAK검사 설비 리크량 디스플레이 설정 및 일상 NG마스터 점검, 정기 캘리브레이션 점검 진행
 ▷융착부 최종검사 항목 반영 및 관리상태 (검사유효성 적합성 확인 - 생산 LOT 품질보증 여부)
     - 정밀융착(기밀성능 확보)  : 전둘레 융착돌기 검사(4개소 이상)
     - 일반융착(고정목적) : 용접부 이탈강도 확인 및 추이도 분석

  
1.출하검사 성적서(외관,치수, 조립성)
  - 출하 검사 장소 지정 검사대 및 검사 도구 비치 실제 출하 검사 실시
  * 출하검사장 심사당일 버 제거작업 금지 및 출하 검사 실시
     - 출하 검사 대상 리스트
     - 출하 검사 표준
     - 출하 검사 일지
     - 출하 검사 도구
출하 검사대
출하 검사 기준서
출하 검사 성적서
검사자 자격인증

출하검사장 작업장 검사표준류 정비 및 정리
품질 08월 25일
기준  1) 완성품 검사기준 미설정중 0
 2) 완성품 검사기준 설정중이나 검사 미실시 1.5
 3) 완성품 검사기준 설정중이나 검사 데이터 부분적 누락 or 신뢰성 없음 (하위작성) 2.5
 4) 완성품 검사기준 설정 및 검사, 기록상태 양호함 4
 5) 완성품 검사, 기록상태 양호하며 검사자 자격인증 검증 및 주야간 배치 관리상태 우수함 5

 

 

SQ를 준비 하려면 각 항목별 누가 언제까지 무었을 어떻게 할건지 명확하게 정해야 하고

진행내용을 수시로 체크하고 부족한점을 지속적으로 보완하여야 합니다!!

사출 업종을 예를 들어 만들었습니다!!

실제 이렇게 하여 SQ 인증하였습니다!!

반응형

'SQ'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별 일일 업무보고 양식  (0) 2018.12.05
견본관리 대장!!  (0) 2018.12.05
업종별 핵심공정 SQ 평가서 F/PROOF 항목  (0) 2018.11.15
SQ_ 사출 사후 평가 점검 LIST  (0) 2018.11.15
SQ 마크 인증용 현장 풀푸르프 푯말  (0) 2018.11.15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