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일을 놓는 줄 조, 율, 이, 시라 하여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대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하여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망과(넝쿨과일)을 쓰기도 한다. 복숭아는 안쓰며 과일 줄의 끝에는 조과류(손으로 만든 과자)를 쓰되 그 순서는 다식류(송하, 녹말, 흑임자)을 먼저 쓰고 그 다음이 유과류(산자, 강정 등), 마지막 끝에 당속류(오화당, 원당, 옥춘 등)를 사용한다. 2) 반찬을 놓는 줄 좌포 우혜라 하여 왼쪽 끝에 포(북어, 대구, 오징어, 문어 등)를 쓰며 우측 끝에 혜(식혜)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순으로 올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따위는 그 다음에 올린다. 3) 탕을 놓는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 소탕(두부, 채소류), 어탕(어패류) 차례로 올리며 5탕을 사용할 때에는 봉탕(탕, 오리), 잡탕 등을 올린다. 4) 적과 전을 놓는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어적(어적 어패류), 소적(두부 채소류)의 순서로 올리며 오적을 사용할 때에는 봉적(닭, 오리), 채소적을 더 사용하는 예도 있다. 5) 반, 잔, 갱을 놓는 줄 메(밥)을 왼쪽에 갱(국)을 오른쪽에 올리며 잔은 메와 갱 사이에 올린다. 시저(수저와 대접)는 단위제의 경우에 메의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는 중간부분에 올린다. 면(국수)는 건데기만을 올리며 청(조청, 꿀, 설탕)은 편의 왼쪽에 올린다. 6) 향상 축판을 올려놓고 향로와 향합을 올려놓으며 그 밑에 모사그릇, 퇴주그릇, 제주 등을 놓는다. 향상 위에 간혹 모사잔이라 하여 강신할때 사용하는 잔을 놓기도 한다. 7) 제상진설의 원칙 진설(陳設)이란, 벌일 진(陳) 베풀 설(設)로, 제사나 혼인 때 그 법식에 따라서 음식을 상 위에 벌여 차린다는 말이다. 그 법식은 음식마다 자리가 정해진 것이 아니고, 원칙을 정해 상황에 적용시키는 상대적인 것이다. 1. 좌포우혜(左脯右醯) 2. 어동육서(魚東肉西) 3. 두동미서(頭東尾西) 4. 홍동백서(紅東白西) 5. 조율이시(棗栗梨枾) *동쪽은 제관의 우측, 서쪽은 제관의 좌측을 말한다. 8) 제사음식의 조리법 복숭아와 꽁치, 참치, 갈치 등 끝자가 치자로 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과일을 올릴 때 우측에 붉은색 좌측에는 흰색 과일을 놓고 그 가운데에 조과류(다식, 유과, 당속)를 놓는 예법도 있다. 그 경우는 시접과 잔반을 제일 먼저 올린 뒤 앞줄서부터 순서대로 놓으면 |
'단디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아버지 12가지 비결 (0) | 2018.12.05 |
---|---|
좋은 부부가 되는 10가지 비결 (0) | 2018.12.05 |
이럴땐 아빠 사표를 쓰세요!!! (0) | 2018.12.05 |
육손의 손자 병법!!! (0) | 2018.12.05 |
손자병법_요약 (0) | 201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