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의 10가지원칙
아래에는 지식경영의 10 가지 원칙이 나와 있다. 이 외에도 더 많은 원칙들은 있을 수 있으나 10 개라는 수가 훨씬 강력한 호소력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각각의 원칙들과 그것과 관계된 일부 사항 및 이슈들을 논의하려고 한다. 저자가 알고 있는 기업들 중 지식경영 원칙들과 씨름하며 조치를 취해온 기업들의 경험들을 기술했다.
1. 지식 경영은 비용이 많이 든다(그러나 '무지'도 비용이 들기는 마찬가지다.)
지식도 하나의 자산이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경영하려면 다른 자산의 투자가 필요하다. 아래사항처럼 노동과 돈을 투자해야 하는 특정한 지식경영 활동들이 많이 있다.
*지식획득, 즉, 문서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옮기는 것.
*지식의 편집, 패키지화 및 정리작업을 통한 가치부가.
*지식을 범주화하는 접근법의 개발과 지식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것에 대한 범주화.
*정보 기술 인프라의 배발과 지식 분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지식의 창출과 공유 및 이용에 대한 직원교육
2. 효과적인 지식경영에는 사람과 기술의 혼합 솔루션이 필요하다.
Business Week는 인공지능에 대한 최근 한 기사의 타이틀에서 "생각하는 컴퓨터는 거의 여기에.....인간처럼 사고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인공 지능의 최종적인 목표는 곧 정복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글을 실었다. 1995년에 이 기사가 발표되었다면 1950년부터 기계에 기반한 지식에 대해 들어왔던 경영자들과 전문인들에게 일종의 착각과 같은 경험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지식을 효과적으로 경영하기 원하는 회사들도 엄청난 노동력을 필요호 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컴퓨터와 인간이 잘 할 수 있는 일의 종류가다르기 때문이다.
3. 지식경영은 매우 정치적인 것이다.
"아는 것(지식)이 힘이다."라는 말에는 비밀이 없다. 따라서 지식경영이상당히 정치적인 일이라는 말에는 놀랄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만약 지식이 권력과 돈 및 성공과 연관된 것이라면 또한 로비와 속임수 및 뒷거래와도 관련이있는 것이다. 만약에 지식경영이 이니셔티브를 둘러싼 어떠한 정치적인 것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가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조직을 판단해도 될 것이다.
4. 지식경영을 하려면 지식경영자가 필요하다.
일부 서비스 전문 회사는 이미 지식경영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다. 즉, McKinsey, Anderson Consulting, Ernst & Young, Price Waterhouse, A.T.Kearney는 모두 "최고지식관리자(CKO)를 두고 있다. Buckman Laboratories는 자사에 있던 정보시스템 (Information Systems) 조직에 근무하던 사람들을 지식경영자로 만들기 위해 조직을 재정비하였고 이를 지식전송(Knowledge Transfer)부서로 개칭하였다. Hewlett-Packard는 기업의 상품 프로세스 조직(Product Processes Organization)안과 컴퓨터 시스템 마케팅 그룹안에 각 하나씩의 지식경영 그룹을 새로이 두었다.
5. 지식 경영은 모델보다는 맵에서, 시장보다는 계급제도에서 더 많은 이득을 복 수 있다.
지식을 경영하는 것이 Brittanica의 Propaedia 백과사전이 지식을 수집하고 범주화하는 것을 통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식을 위한 계급적인 모델이나 구조물을 창조한다면 이것은 매우 유혹적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직들은 지식시장이 보다 나은 상태에서 운용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보기 원하는 지식을 제공하고 매핑한다. 이러한 지식의 확산은 맵에서 서술된 뒤로 비논리적이다. 그러나 고안한 사람만이 잘 이해하는 가설의 지식모델보다는 사용자들에게 훨씬 많은 도움을 준다. 조직의 지식을 매핑하는 것은 더 좋은 접근법을 제공하는 유일한 활동일 것이다.
6. 지식의 공유와 이용은 보통 자연스럽지 않은 행동이다.
지식을 공유하고 이용하는 직원들을 평가하여 보상해주는 회사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지금은 IBM의 한 분과가 되어버린 Lotus Development는 전체 수행 평가의 25%를 고객 지원근로자들이 지식공유를 했는가에 쏟고 있다. ABB는 관리자들을 평가할 때 그들의 결정결과 뿐 아니라 또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용된 정보와 지식도 참고하고 있다.
7. 지식 경영은 지식 업무 프로세스를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지식 경영 프로세스를 밝히고 개선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지식은 소수의 특정 지식 업무 프로세스에서만 집중적으로 생산.이용.공유된다. 이러한 특정 프로세스는 회사와 업계에 따라 다양하지만 시장조사,상품 디자인과 개발, 이보다는 거래상의 프로세스인 주문 배열과 가격 책정 등을 포함한다. 지식 경영에서 진정한 개선이 이루어져야한다.
8. 지식 접근은 시작에 불과하다.
지식 접근이 충분하다면, 국가의 도서관밖에(사람들이)길게 늘어선 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접근은 중요하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성공적으로 하려면 또한 지식경영에 대한 주목과 참여가 필요하다. 주목은 정보시대의 화폐라고 말한다.
9. 지식경영은 끝이 없다.
지식경영이 끝이 없는 이유는 필요한 지식의 범주가 계속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기술,경영 접근, 규정 이슈, 고객관심 등이 항상 나타난다. 기업은 전략,조직적 구조, 상품과 서비스의 강조점을 달리한다. 새 경영자와 전문가들은 지식의 새로운 니즈를 가지고 있다.
10. 지식경영은 지식계약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조직을 보면 직원들의지식을 소유하고 이용할 권리를 누가 가졌는지 분명치 않다. 직원들의 지식은 소유되거나발려줄 수 있는 것인가? 직원들의 머리속에 있는 모든 지식은 고용주의 자산인가? 파일 캐비넷에 있는 지식이나 컴퓨터 디스크에 있는 지식은 어떠한가? 컨설팅하고 있는 컨설턴트들의 지식은 어떤가? 외부에서 끌어온 직원들은 어떤가? 이런 문제를 다루는 회사는 거의 없다.
저자 : Thomas H. Davenport
'예전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경제시대의 제조업 (0) | 2018.12.05 |
---|---|
지식경영의 성공과 실패 (0) | 2018.12.05 |
지식 경영 (0) | 2018.12.05 |
지식 경영은 인재 경영 (0) | 2018.12.05 |
중간 관리자의 역활!!! (0) | 201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