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꺼>> / / 2018. 12. 5. 14:56

지식 경영

반응형

지식경영

1. 서문

   노나카 이쿠지로 - 조직 내에 있는 개개인들이 지니고 있는 지식(암묵지) 중시

   개개인들이 갖고 있는 지식을 조직화하여 조직 구성원이 이를 공유함으로써 자연

   스럽게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렇게 형성된 지식공유 문화는 그 어떤

   경영전략 보다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지식경영의 정의 - 조직이 지니는 지적 자산뿐만 아니라 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이나

   Know-How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조직 내부의 보편적인 지식으로 공유하고, 이의

   활용을 통해 조직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경영이론.

 

   지식의 창출, 전파, 축적, 평가 등이 이른바 지식경영체제 이다.

   지식의 창조,공유,활용이 지식경영이다.  

 

   영국과 이탈리아는 고급 차종 중심으로 세계 자동차 업계를 주도하다 대규모 제조

   업체의 노쇠 현상이 두드러지자, 전문 자동차 Design 기업들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채택하여 자동차 Design 업계를 석권하게 되었다.

 

   선진국과의 지식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기업과 개인이 창의적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기여해야한다.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재무자본과 지적 자본을 균형적으로 축적,

   평가하고 이를 경영전략의 수립및 수정에 활용해야 한다.

 

   가장 시급한 부분은 지식의 창조이다.

   지식의 공유는 이를 위한 제도을 보완하고 DB,Network 등 공유를 를위한 기반

   System의 구축을 통해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다.

 

   지식의 창조는 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습득 혹은 지식배양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별로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조직 구성원이 공유할수 있도록 이끌어 내어

   Synergy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식들을 뜻한다.

 

   암묵지를 형식지(어려 사람이 공유할수 있도록 문서나 Manual처럼 눈에 보이는 형태)

   로 도출해 내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21세기의 경영환경은 매우 단속적이고 불확실하며, 예측할수 없다.

   단속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이 필요하며, 이것은 지식민주주의를

   요구한다.

 

   노나카 이쿠지로 - 현장의 지식을 어떻게 조직내에 체화하느냐가 조직 경쟁력의 관건.

 

   세계경제는 지식경제로 옮겨가고 있다.

   농업경제, 산업경제, 지식경제로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이행은 산업구조, 산업별 성장률, 지식노동 투입비율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현재의 상황 - 가격파괴등의 현상과 Global한 수준에서 보다 높은 차원의 품질경쟁,

   보다 높은 차원의 문화적 가치경쟁을의 전이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대책

   #조직차원에서의 지식관리 - Vision, 환경에 대한 인식, 지를 창출하는 능력등 조직적

     으로 공유되고 있는 지식.

   #상품과 Service에 대한 지식과 개념, 고도의 지적.문화적 가치의 추구 - Brand인지

  

   자동차 산업의 경우 환경,안전,자원문제를 해결해야 저가격 정책을 탈피할수 있다.

 

   지식경재의 시대가 도래 했다.

   S/W System을 매개로 한 기업간 지식의 제휴.조직화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지적 소유권 등과 지적 자산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지식시장이 등장했다.(약품,화학품,반도체)

 

   지식격차로 인한 경쟁력 저하는 기술상의 지식격차, Design.제품개발등 Marketing

   지식격차, 경영상의 지식격차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지식경영론적 관점에서 음미해야 할 것은 핵심역량(Core Competence), 학습조직,

   지식창조 등의 "능력 Base 경영" 개념이다.

 

   정보는 인간이 뭔가를 전달할 때의 '내용' 이다.

   반면, 지식은 이러한 정보가 '축적된 형태'를 의미한다.

   지식은 인간이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혹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념의 집합체이다.

 

   정보 관련 자원은 기본적으로 Flow형의 자원관리가 기본이다.

 

   조직 내의 지식

   #Innovation, 독창적인 기술개발에 의한 지식획득 활동

   #고객과 공동으로 창출하는 지식, 기업간의 제휴에 의한 공유지식, 공동창출지식.

 

   제품의 본질은 다름아닌 지식 그 자체이다.

 

   지식을 특허나 Know-How,DB 등의 형태로 구체회시킨 지적 자산이 경영자원이다.

 

2. 지식이란 무엇인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활동에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 지식은 정태적일수 없다.

  

   지식은 모형속에 고정되지 않는다.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새로운 사태를 어떻게 해석하고, 또 기존의 관행을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이다.

 

   지식은 주관적인 해석과 자유로운 발상을 요구한다.

 

   지식은 새로운 Data 나 현상이 각 개인에 의해서 새롭게 해석되거나

   새로운 Paradigm에 의해 이해됨으로써 재구성되는 것이다.

 

   지식은 진화한다.

 

   지식은 이를 소유.활용하는 인재 및 Leadership 등 조직의 인적 측면과 관련이 크다.

 

   종래의 회계 System은 기업의 자산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라는 지적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Merck, CIBC, Skandia )

   금융Service업 계통인 Scandia에서는 지적 자산 관리담당임원을 두고 결산서에 반영.

 

   Dow Chemical의 지적 자산 관리 단계

   #사업에서 지식의 역할을 명확히 한다.

   #경쟁상대와 자사의 지적 자산을 측정한다.

   #지적 자산을 분류한다(Portfolio)

   #이들 제반 사항을 평가한다.

   #투자한다.

   #새로운 지식의 Portfolio를 집약.활용하고, 이상의 Process를 반복한다.

 

   지식사회 애서의 기업의 변화적응

   #강력한 Leadership Partnership

     종업원과 고객등과의 긴밀한 관계 맺음.

   #기업의 새로운 자산, 지적 자본을 측정하고, 향상 전략을 수립하고, 창출한다.

     US West, Hughes & Space

   #보상을 통한 강력한 동기부여

     Lotus Development - 고객 지원부서 인력의 고과평가

     ABB - 관리자의 고과평가 중 의사결정과정에 적용된 지식과 정보 감안

   #지식공유의 통로, 정보 Infra

     지식Base로 확장, 조직적으로 공유

     ABB, Mackensy

   #창조력은 창의적 조직이 만든다.

     MS - 팀에 인력채용과 교육을 맡긴다. 개인의 Idea가 성공할 경우 특허권을 준다.

              사내 Venture사업을 조직한다.

   #연구개발에서의 지식공유

     Merck - 주제별 최신정보, 주요 과학자들의 연구내용, 주제별 전문가 신상,

                  연구원각자가 담당하는 외부기관을 선정, 연구결과를 전담직원이 요약.

     HP, Chrysler(CCEBOK)

 

   SiliconVally 의 성공요인 - 학습사회.

   Nike - 생산공장 없이 Design과 상품개발만 수행 - 생산과 판매의 Global

 

   가상기업(Virtual Corporation)으로 발전한 지식기업

   미국 기업은 일본식 경영의 장점을 철저하게 연구하여 이를 발전,System

   가상기업은 일본 기업의 계열관계에 대립되는 개념

   전략목표별로 타 기업의 경영자원을 유연하게 채용하는 조직모형.

   기업간 제휴를 매개로 정보 Network System을 활용해 가면서 자사의 능력과

   지식Base를 가상적으로 확대한다는 의도이다.

   미국에서는 Internet을 이용한 Network형 기업 등이 등장하고 있다.

 

   Modular Corporation

   자사조직을 지적 집약도가 높은 것에 특화하고, 다른 표준화된 단위는 외부의 전문기업

   혹은 조직에 전략적으로 외주(Outsourcing)를 주는 기업 혹은 그러한 경영기법.

   DEL Computer, EDS

   전제 조건으로 Outsourcing 업무의 Package화가 독자적으로 가능할 것,

                        Outsourcing 이 가능한 안정된 업계환경 등.

 

3. 경영 Paradigm의 흐름과 지식경영

 

   미국은 Adam Smith 이래 지속된 조직 내의 분업체제 대신 직무기능의 벽을 뛰어넘는

   이른바 직능횡단Team(Cross Functional Team)에 의한 혁신에 관심을 가짐.

 

   미국은 일본의 칸반(看板) System의 발전된 형태인 Lean Production System을 정착.

 

   BPR - Biz. Process로 바라보고, 개별업무의 중요성을 고객의 편익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중추적인 업무 Process를 재설계한 다음, 전체적으로 이들이

             개선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정보System의 동시구축이 성패의 열쇠가 된다.

 

  노나카 -종래의 대량생산 체제와 전혀 다른 경영 Paradigm인 기민한 경쟁(Agile

              Competition)을 주목한다. 이 경쟁의 의도는 고객가치를 높이기 위해 작은 품목

              이라도 유연하고 신속한 제품의 주문생산이 가능하도록 정보기술을 충분히 활용

하고, 기업간 제휴를 전제로 해서 제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로 부터 얻을수

              있는 수익은 Hard제품이 아니라, Upgrade Recycle 등에서 나온다.

 

4. 지식경영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이루어 나갈수 있는가?

  

   석학 - Leif Edvinsson, Annie Brooking, Nonaka Ikugiro

 

   지식경영에는 두가지 조류가 있다.

 

   Leif Edvinsson

   #정보기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

   #Computer DB의 구축이나 재무 및 회계 관련 지식의 System화 등에 많은 관심을 둔다.

   #지식의 실제적인 가치측정과 DB, GroupWare 등 지식공유를 위한 실제적인 방법론

   #지적 자본 중심의 지식경영

   #지적자본이란 Nonaka Capability,즉 핵심역량을 창출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지식및

     Know-How를 가시화시켜 놓은 것이다.

 

   Nonaka

   #철학적인 접근을 강조한다.

   #정보기술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 범위가 다소 좁다. 그 이유는 그의 이론이 잘 정비된 일본의 대기업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개인에 내재되어 숨어 있는 암묵적인 지식을 조직의 지식으로 이끌어 내는 지식창출

     과정과 이를 위한 조직구성, 그리고 지식공유 문화의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Nonaka의 지식 경영 Model

   #기업은 투입과 산출을 위한 기계가 아니라 자기진화를 위한 원천을 내부에 갖고있는

     유기체로서 살아있는 생물과 같다.

   #밖으로 드러난 핵심역량보다 핵심역량 창출의 저변이 된 조직 차원의 지식과 Know-

     How, Capability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본다. 제품차원, 지식변환 차원, 조직자원

     차원으로 그 Pattern을 구별하고 있다.

 

   Leif 4가지 기업역량

   #인간자본 - 임직원에게 체화되어 있는 기업역량

   #고객자본,Process 자본,혁신 자본 - 조직 내에 체화되어 있는 기업역량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지적자본의 수준 파악이고 책임소재이다.

   #지적자본이론에서 부가가치 창출은 임직원이 각 자본, 즉 고객자본, Process자본,

     혁신자본을 얼마나 잘 할용해서 제품이나 Service로 고객을 만족 시키느냐에 있다.

   #Nonaka와 공통점은 재무자본 외에 미래 수익 창출의 근원이 되는 성장능력을

     중요시 한다는 것이다

   #차이점은 Nonaka가 지식창조의 측면을 강조하는반면, 지적 자본 이론가들은 지식의

     축적.활용.평가의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지적자본은 크게 인적자본과 구조적자본으로 구성된다.

   #인적 자본은 기업의 임직원들이 업무수행을 위해 가지고 있는 지식.Skill..능력의 결합물.

     + 임직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기업의 경영철학,가치관들 문화적인 요소

   #구조적 자본은 기업의 조직적 차원에서 생성되는 무형자산

     특허권, 생산 혹은 판매상의 각종 Know-How, 고객정보를 담고있는 DB, 다양한 업무     

     관련 Manual,조직구조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기업내에서 변화를 추진하려면 가용자원의 재분배와 성과평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Annie Brooking 4대 지적 자본

   #시장자산 - 시장에서 이익을 얻는데 필요한 모든 자산. 회사의 시장 지배력을 결정.

                      Market Positioning 전략에 중요한 지침.

                      회사보다 생명력이 강한것이 Brand이며, 유통도 중요하다.

   #인간중심 자산 - 기업 내 직원들에 의해 보유되고, 기업경영에 의해 구현되는 제반지식.

                             이를 위해 교육과 훈련,보상,직무평가 와 심리분석등이 필요.

   #지적 소유자산 - 법적으로 보호받는 특허권이나 상표권 + Know-How나 영업비밀

   #Infra자산 - 직원과 업무Process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조직체를 유지.강화시키는

                      한편, 지식공유의 장을 마련해 준다.

   #지적 자본의 축적 정도를 측정할수 있는 지표를 만들다.

 

   지적 자본의 평가

   #평가의 이유 - 조직의 목표달성 능력을 검증하거나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할때,

                Reengineering 또는 교육및 훈련 Program을 모색하거나 기업의 가치를

                재평가 할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Annie의 지적 자본 평가 6단계

   #기업목표와 사업영역등 사업전략을 규명

   #측정이 필요한 이상적인 지적 자본을 설정

   #설정된 지적 자본에 바람직한 가치를 부여

   #지적자본에 대한 평가 방법을 결정

   #자사의 지적 자본을 평가

   #측정된 지적 자본의 가치를 문서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

 

   Nonaka Capability

   #제품수준, 지식변환 수준, 조직자원의 수준

   #제품수준 - 지식변환 수준에 의해 지탱되는 것.

   #지식변환 수준 - 조직이 제품Concept 등의 새로운 지식을 창조한다든지 혹은 외부에서

                             얻은 지식 및 정보를 조작.조정하는 능력. 기업이 실제로 ''를 만들어

                             내는 Engine.

   #조직자원 수준 -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Capability의 가장 밑바탕에 깔려있는 부분.

 

5. 어떻게 지식을 창조할 것인가?

 

   지식을 공유하는 기업문화를 창출하는 것

   지식을 효율적으로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제도와 조직구조를 정비하는 것.

   지식경영의 촉진제이자 실질적인 도구인 정보기술 Infra를 구축하는 것.

 

저자 : POSCO경영연구소     제목 : 지식경영


반응형

'예전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경영의 성공과 실패  (0) 2018.12.05
지식경영의 10가지원칙  (0) 2018.12.05
지식 경영은 인재 경영  (0) 2018.12.05
중간 관리자의 역활!!!  (0) 2018.12.05
자신의 성장에 책임을 져라  (0) 2018.12.05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