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나 여자나 주로 사용하는 손을 보면 됩니다. 그럼 한 손만 보나요? 전문가들 같은 경우는 양손을 모두 보는데요.
오늘 주제는 self 보는 방법이라서 뭐 그 정도까지 알 필요가 없습니다. 무료 앱을 통해 비교해서 손금 알 수 있어요
그렇다고 무시하지 마세요. 인터넷에 나와있는 자료 이상으로 많은 정보가 있으니까요. 비교해 보면 보기도 쉬워요
한 가지만 명심하세요. 좋은 선이 나오면 억지로 있다고 우기지 마세요. 확실히 보여야 선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정말 실선인데 보일까 말까 이런 건 그냥 아니에요. 눈으로 봤을 때 딱 보여야 돼요. 그래야 힘도 있고요. 참고해요.
그리고 (태양선/운명선/사업선)이 합쳐져 삼지창 손금이라고 하는데요. 이것보다도 (생명/감정/지능선) 먼저예요.
그러니까 기본 3대선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가 이렇게 말을 하니 전문가 같지만 아닙니다. 저도 금방 배웠으니까요.
여러분도 될수가 있습니다. 바로 오늘 설명드릴 어플만 알면 됩니다. 아주 금방 눈과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보세요.
그럼 지금부터 오늘의 주제 남자 손금 보는법 바로 시작합니다. 여자와 구분 없이 그냥 보면 됩니다. 참고하면 돼요.
몇 가지 읽어드리겠습니다. 부자가 될 수 있는 손금 비법! 그리고 여름에도 감기가 걸릴 사람은? 안 좋은 의미겠죠?
오늘 이 두 가지를 가지고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참고하여 내용을 보면 되겠습니다. 아주 간단해요.
그리고 오늘 어플이름은 [포스텔러]입니다. 아는분들은 알거라 생각을 합니다. 그럼 남자 손금 보는법 바로 더봐요.
▼다음은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 선입니다. 굵고 진할수록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생명선 활처럼 휘고 길어야 하죠!
지능선 감정선입니다 말 그대로 지능선은 두뇌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감정선은 감정 성격을 나타내는데요. 참고요
운명선은 있는 사람도 없는 사람도 있어요. 그러니까 활동력이 강하다고 해야 하나? 추진력이 좋다고 볼 수 있어요

▼먼저 부자가 될 수 있는 손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그냥 재미로만 보세요. 그래야 마음이 편할거예요.
먼저 사업선(재물선) 입니다. 가로선 이 없고 세로선 만 있을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아래에서부터 없어도 되는데요.
감정선 위에서 발달하면 50이후 말년에 좋다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태양선 (재물선) 이라고도 합니다. 좋은 선이죠
인기 그리고 성공이라고 합니다. 이 선도 감정선 위에 있다면 말년에 성공한다는 소리죠. 대신 쭉 뻗어 올라가야죠
힘없이 올라가다 막힘 안 됩니다. 그리고 아래에 해석을 참고하면 됩니다. 한 번씩 읽어봐요. 그리고 비교해 보세요.


▼그럼 다음으로 운명선 M자 손금입니다. 워낙 많이 듣던 선입니다. 운명선이 직업이랑 비슷한데요. 참고만 해요.
중간에 바뀌면 직업이 바뀐다고 하더라고요. 모르겠습니다. 저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다음은 M자는 아시죠
아주 좋은 밸런스로 부자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만있는다고 부자는 안됩니다. 노력을 해야 되는 겁니다.


▼다음은 일명 여행선 역마선이라고도 부릅니다.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어요. 뭐 무조건 나쁘다는건 안 맞죠
내게 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가만있으면 병이 난다고 합니다. 돌아다니는 걸 좋아하는 타입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여기에 맞는 직업을 가지면 좋은 겁니다. 그리니 이용을 하면 됩니다. 비슷한 선들이 있다면 한번 참고는 해보세요.

오늘 이렇게 남자 손금 보는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주 일부분만 설명을 드렸습니다. 직접 이용 하면 됩니다.
어차피 무료 이용이라 보니 누구나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외에 아주 재미있는 자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 재미로 생각하면 괜찮은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너무 진지하다면 그냥 이용을 하지 마세요. 참고해요.
[출처] 남자 손금 보는법 (模樣) (形狀) 길흉(吉凶)을 판단|작성자 쏘이
'단디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종 대형 취득 후기 (0) | 2023.07.18 |
---|---|
손금보는법 (0) | 2022.07.20 |
남자손금 보는법 생명선 - 펌 (0) | 2022.07.20 |
온종일 앉아있으면 벌어지는 끔찍한 일 12가지 (0) | 2022.04.14 |
교육훈련과 인적자원개발 (0) | 2018.12.05 |